'이것' 없는 훈육은 실패라고 봐야합니다 /아이를 가르치다 욱한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정신과의사 김현수교수]

'이것' 없는 훈육은 실패라고 봐야합니다 /아이를 가르치다 욱한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정신과의사 김현수교수]

간략 요약

이 영상은 아이 훈육 시 부모가 기억해야 할 점들을 다룹니다. 효과적인 훈육 방법, 부모가 화가 나는 이유, '욱'하는 순간 대처법, 그리고 절대 해서는 안 되는 말 등을 제시합니다. 핵심은 아이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감정적인 반응을 자제하고, 아이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긍정적인 강화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 훈육 시 감정적인 반응을 자제하고, 아이의 어려움을 이해해야 합니다.
  • 긍정적인 행동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칭찬해야 합니다.
  • 아이와의 관계를 해치는 말은 삼가고, 대화를 통해 소통해야 합니다.

인트로

이지민 아나운서는 김연수 교수와 함께 아이 훈육에 대한 어려움과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부모가 아이를 훈육할 때 알아야 할 점들을 살펴보고, 훈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정적인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아이를 훈육해야 할 때, 꼭 기억해야 할 것

훈육 시 효과가 있는지 냉철하게 생각해야 하며, 감정적으로 대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훈육은 아이의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아이가 스스로 행동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아이가 긍정적인 행동을 했을 때는 과장되게 기뻐하며, 변화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부모의 기쁨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훈육할 때, 화가 치밀어 오르는 이유

부모가 화가 나는 주된 이유는 아이가 '할 수 있는데 안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행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못 한다'고 생각하면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들고,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함께 노력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행동을 못 하는 이유를 파악하고, 시각적인 안내나 알림 등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욱’하는 순간에는 이렇게 해보세요

부모가 지치고 화가 났을 때는 훈육을 잠시 멈추고 자신을 돌보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고치려고 하지 말고, 한 번에 한 가지 습관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다른 부모들과 경험을 공유하며 노하우를 배우고, 아이와 함께 우선순위를 정하여 가족 회의를 통해 해결책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함께 정하여 서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말

아이와의 유대감을 끊는 말이나 존재 자체를 비난하는 말은 절대 해서는 안 됩니다. 아이가 자신을 부정적으로 느끼게 하는 말은 피해야 합니다. 부모와의 대화에서 아이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고 비난하거나, 부모 중심의 일방적인 경험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이가 부모를 멀리하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호기심 있게 들어주고, 공감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