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d TV] 이정 목사의 토라포션 1번째 주 “베레쉬트(בראשית)'

[Brad TV] 이정 목사의 토라포션 1번째 주 “베레쉬트(בראשית)'

요약

이 비디오는 토라 포션의 첫 번째 세션인 베레쉬트를 통해 창조주 하나님을 이해하고, 그분의 시작과 마무리를 통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깨닫는 여정을 안내합니다. 유대인들이 토라 포션을 통해 어떻게 절기를 지키고, 이스라엘과 마음을 같이하게 되는지 설명하며, 창세기와 예언서, 신약을 연결하여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눈을 기르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죄의 시작과 결과,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통해 아버지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며, 이스라엘의 회복과 메시아닉 관점을 조명합니다.

  • 베레쉬트를 통해 창조주 하나님을 이해하고 그분의 인도하심을 깨닫기
  • 토라 포션을 통해 절기를 지키고 이스라엘과 마음을 같이하기
  • 창세기, 예언서, 신약을 연결하여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눈 기르기
  • 죄의 시작과 결과, 하나님의 구원 계획 이해하기
  • 아버지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고 이스라엘의 회복과 메시아닉 관점 조명하기

소개

오늘부터 토라 포션 공부를 시작하며, 첫 번째 세션인 베레쉬트(창세기 1장~6장 8절)를 통해 하나님이 세상을 어떻게 창조하시고, 사람들이 어떻게 타락하며, 하나님이 어떻게 회복하시는지 알아봅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이 마지막까지 어떻게 인도하실지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사야서 42장과 요한복음 1장 1절부터 14절까지의 말씀과 연결하여 함께 공부하며, 유대인들이 어디에 있든지 같은 토라 포션을 읽는다는 점을 기억하며 이스라엘과 마음을 같이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베레쉬트: 창조의 시작

베레쉬트는 "태초에"라는 뜻으로, 창세기 1장부터 6장 8절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작이 중요한 만큼, 베레쉬트를 통해 하나님이 세상을 어떻게 창조하시고, 사람들이 어떻게 타락하며, 하나님이 어떻게 회복하시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사야서 42장과 요한복음 1장 1절부터 14절까지의 말씀과 연결하여 함께 공부하며, 유대인들이 어디에 있든지 같은 토라 포션을 읽는다는 점을 기억하며 이스라엘과 마음을 같이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창조주 하나님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셨다는 것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창조하신 하나님은 모든 것을 주관하시고, 처음과 나중이 되시는 분입니다. 이사야서 44장 6절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왕이자 구원자이시며, 처음이자 마지막이라고 선포합니다. 시작과 마침이 되시는 하나님을 알게 되면, 그분이 하신 말씀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이사야서 66장 9절은 하나님이 시작하신 일은 반드시 마무리하신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천지창조 복습

하나님은 첫째 날에 빛을 만드시고, 둘째 날에 궁창을 만드시고, 셋째 날에 육지와 바다, 풀과 채소, 나무를 만드셨습니다. 넷째 날에는 해와 달과 별을 만드시고, 다섯째 날에는 새와 바다 짐승을 만드시고, 여섯째 날에는 땅의 짐승과 가축, 사람을 만드셨습니다. 특히, 하나님은 자신의 형상대로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으며, 이들이 한 몸을 이룰 때 하나님의 형상을 나타냅니다. 일곱째 날에는 안식하시고, 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습니다. 안식일을 지키는 것은 창조주 하나님을 믿고, 출애굽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남자와 여자의 창조

창세기 2장 22절에 따르면, 하나님은 아담의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셨습니다. 아담은 여자를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고 고백하며, 여자를 "여자"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니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남자와 여자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으며, 한 몸을 이룰 때 하나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유대인과 이방인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한 새 사람이 되는 것처럼, 남자와 여자도 그리스도 안에서 동일하지만 분명히 다른 존재로 한 몸을 이룹니다.

죄의 시작

창세기 3장에 나타난 죄의 시작은 뱀의 거짓말에서 비롯됩니다. 뱀은 하와에게 하나님의 선하심을 의심하게 하고, 죽지 않을 것이라고 거짓말하며, 선악을 알게 될 것이라고 속입니다. 하와는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하고, 남편과 함께 열매를 따먹습니다. 이는 거짓말,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의심, 왜곡된 정보가 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아담은 하와가 죄를 짓는 것을 막지 못하고, 오히려 함께 죄를 지음으로써 책임을 다하지 못했습니다.

죄의 결과

죄의 결과로 뱀은 땅을 기어 다니게 되고, 여자는 임신과 출산의 고통을 겪게 되며, 남편을 원하고 남편은 여자를 다스리게 됩니다. 아담은 땅이 저주를 받아 평생 수고하여 소산을 먹게 되고,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얻게 됩니다.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에게 가죽옷을 입히시고, 생명나무의 실과를 먹을까 두려워 에덴 동산에서 내쫓으십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여자의 후손을 통해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라는 원시 복음을 주십니다.

가인과 아벨

아담과 하와는 가인과 아벨을 낳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하나님께 제사 드리는 방법을 알려줘야 합니다. 가인은 피 흘림 없는 제사를 드리고, 아벨은 피 흘림 있는 제사를 드립니다. 하나님은 가인에게 선을 행하면 낯을 들지 못하겠느냐고 말씀하시지만, 가인은 아벨을 쳐 죽입니다. 이는 말씀을 듣고 지키지 않으면 소용없음을 보여줍니다. 가인은 자신의 죄를 뉘우치지 않고, 오히려 뻔뻔하게 책임을 회피합니다.

셋의 등장과 언약의 계보

하나님은 실패에도 불구하고 가능성의 문을 열어주십니다. 아담과 하와는 셋을 낳고, 셋은 에노스를 낳습니다. 그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가인의 후손들과 달리, 셋의 후손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며 언약의 계보를 이어갑니다. 하나님은 세상의 모든 것에 관심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행하려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십니다.

이사야서와의 연결

창세기 1장과 연결되는 하프타라 말씀인 이사야 42장 5절부터 43장 11절은 이스라엘의 역할이 이방의 빛이 되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진정한 창조주이심을 알지 못하는 어둠 가운데 있는 이방인들에게 빛을 비추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그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할 때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버리지 않으시고, 그들을 구속하시고 지명하여 부르십니다.

이스라엘의 회복

이사야 43장 5절은 하나님이 이스라엘 자손을 동서남북에서 불러 모으실 것이라고 약속합니다. 이는 유대인들이 알리야를 통해 창세기 베레쉬트와 연결하고 있는 말씀입니다. 우리는 토라 포션을 읽으면서 이스라엘의 마음을 품고 기도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흩어져 있는 당신의 백성들을 동서남북에서 불러 모으시고, 그들이 이스라엘의 왕 되신 예수님을 알게 되기를 기도해야 합니다.

요한복음과의 연결

신약 요한복음 1장 1절부터 14절은 태초에 말씀이 계셨고,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며, 이 말씀이 곧 하나님이시라고 선포합니다.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습니다. 요한 사도는 예수님이 바로 창조주 하나님이심을 증거합니다. 요한계시록 1장 8절과 21장에서도 예수님은 알파와 오메가, 시작과 마침이 되시는 분으로 묘사됩니다.

결론

베레쉬트를 통해 창조주 하나님의 시작과 마무리를 기억하고, 나팔절, 속죄일, 초막절을 통해 그분을 만나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요한계시록은 유대인의 관점이 많이 녹아져 있으며, 요한복음 1장 4절과 5절은 유대인들이 빛을 깨닫지 못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요한복음 1장 12절은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다고 선포합니다.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수님을 믿고 하나님의 자녀가 될 것을 믿으며, 그분이 시작되고 마지막 되시는 분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