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 01_2 강의자료 영어문장형성원리

Week 01_2 강의자료 영어문장형성원리

간략한 요약

이 강의는 영어 문장 형성 원리를 그림을 통해 설명하며, PI(Pictures in English) 원리를 중심으로 영어 학습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어는 그림 언어이며, 어순은 그림 설명 순서와 같습니다.
  • 관용 표현과 어휘도 그림으로 이해하면 쉽게 개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힘의 전달 방향과 원리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를 구분하고, 주어와 목적어를 결정합니다.
  • 전치사는 그림으로 접근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문장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PI 영어 안의 그림 원리

영어는 그림 언어이므로 머릿속에 그림을 그릴 수 있다면 영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영어 어순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는 그림 설명 순서와 같습니다. 우리말과 영어의 어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영어의 기본 원리인 PI(Pictures in English)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대 영어는 우리말과 비슷한 구조였지만, 프랑스어의 유입과 조사의 탈락을 겪으면서 현대 영어의 어순이 확립되었습니다.

관용 표현과 어휘에서의 PI

관용 표현과 어휘도 그림으로 생각하면 쉽게 개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관용 표현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sometimes you cross my mind"는 '당신이 내 마음을 가로지른다'는 그림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어는 하나의 형태에 다양한 품사와 뜻을 지닌 단어가 많으므로, 어휘의 개념을 그림으로 이해하면 단어의 품사뿐 아니라 다양한 뜻으로 확장된 이유까지 알 수 있습니다.

단수 복수 개념을 결정짓는 PI

영어는 명사의 단수 복수 개념이 철저하며, 이는 영어가 명사를 그리기 때문입니다. 한국인은 "2 Girls"라는 말을 들으면 '두 소녀'라는 글자로 인식하지만, 영어 사용자는 머릿속에 두 명의 소녀 모습을 그립니다. 또한, 안경(glasses)이나 신발(shoes)처럼 짝을 이루는 물건은 복수로 취급합니다. 반대로, 돈(money)이나 정보(information)와 같은 집합 명사는 단수로 취급합니다.

힘의 전달 방향과 전달 원리

영어 문장을 만들 때 힘의 전달 방향을 통해 자동사와 타동사를 구분하고, 힘의 전달 원리에 따라 주어와 목적어를 결정해야 합니다. 자동사는 동작 힘이 주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동사이며, 타동사는 주어의 동작이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는 동사입니다. 원어민들은 힘의 전달 방향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를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또한, 사건이나 현상을 일으킨 원인을 주어로 사용하는 것이 영어식 표현에 더 자연스럽습니다.

PI 이해하는 전치사

영어에서 전치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치사를 그림으로 보고 접근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치사는 두 명사 또는 두 대명사 사이의 위치, 방향 등을 제시하며, 동사와 결합하여 뜻을 확장하거나 추가적인 동작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또한, 전치사는 동사 동작을 대치하거나, 목적어 뒤에 나와 목적어의 동작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전치사 하나만 바꿔도 문장의 의미가 정반대로 바뀔 수 있습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