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강의는 영어 동사의 변신과 조동사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미래를 나타내는 will, 능력의 can, 필요의 have to, 의무와 추측의 must와 같은 조동사의 다양한 용법을 설명하고, to 부정사의 명사적, 부사적, 형용사적 용법을 예시와 함께 제시합니다. 또한 사역 동사 let, make, help의 차이점과 사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 미래 조동사 will, 능력의 조동사 can, 필요의 조동사 have to, 의무와 추측의 조동사 must의 용법
- to 부정사의 명사적, 부사적, 형용사적 용법
- 사역 동사 let, make, help의 차이점과 사용법
미래 조동사 Will
미래 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조동사 will이 사용됩니다. 동사는 현재와 과거 시제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will + 동사 원형' 형태가 필요합니다. will의 과거형인 would는 과거의 의지나 추측, 가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 would go"는 '가려고 했었다' 또는 '갈 수도 있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능력의 조동사 Can
능력이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can은 '할 수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또한, can은 허락의 의미로 '해도 된다'라는 뜻으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can의 과거형인 could는 과거의 능력뿐만 아니라 현재 상황에서의 약한 가능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I could eat a horse"는 '말도 먹을 수 있을 것 같다'라는 의미로 현재의 강한 배고픔을 표현합니다.
필요의 조동사 Have to
필요나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 have to는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must와 유사하지만, have to는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는 has to로 바뀌며, 과거 시제는 had to를 사용합니다. have to의 부정형인 don't have to는 '할 필요가 없다'라는 의미로, need to와 유사하게 사용됩니다.
의무와 추측의 조동사 Must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 must는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강한 의지나 법규, 규칙 등 의무 사항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must는 과거형이 없으며, 부정형은 must not으로 '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must는 강한 추측을 나타낼 때도 사용되며, '~임에 틀림없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To 부정사: 명사적, 부사적, 형용사적 용법
To 부정사는 동사를 명사, 형용사, 부사로 바꿔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표현법입니다. 명사적 용법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되며 '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부사적 용법은 동사나 형용사를 수식하며 '하기 위해서' 또는 '해서'로 해석됩니다. 형용사적 용법은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며 '할'로 해석됩니다.
사역 동사 Let, Make, Help
사역 동사는 누구에게 무엇을 시키는 의미를 가진 동사로, let, make, help 등이 있습니다. let은 허락의 의미로 '하게 하다', make는 강제의 의미로 '하게 만들다'라는 뜻입니다. help는 목적어 뒤에 동사 원형 또는 to 부정사가 올 수 있으며, '~하는 것을 돕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help는 목적어 없이 바로 동사 원형이나 to 부정사가 올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