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는 시작일 뿐 다음은 대만...그리고 한국? | 이문영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교수 [신과대화]

우크라는 시작일 뿐 다음은 대만...그리고 한국? | 이문영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교수 [신과대화]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주년을 맞아, 이 전쟁이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외교 전략 변화, 그리고 한국의 안보 및 경제에 대한 시사점을 분석합니다. 이문영 교수는 트럼프의 친러시아 행보가 미국의 국익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우크라이나의 광물 자원과 관련된 미국과 러시아의 이해관계, 유럽의 안보 위기, 그리고 한국의 핵무장 가능성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칩니다.

  • 트럼프 외교 전략의 핵심은 유럽 배제, 러시아와의 협력, 중국 견제입니다.
  • 우크라이나 전쟁은 미국, 러시아, 중국 간의 강대국 정치와 세력권 경쟁을 심화시켰습니다.
  • 한국은 안보 및 경제적 이익을 위해 러시아와의 관계를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 핵무장보다는 동맹 강화와 재래식 전력 강화가 현실적인 대안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 국제 정세의 변화 [1:2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주년을 맞아, 전쟁이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과 최근 종전 협상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친러시아 행보와 미국의 외교 전략 변화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외교 전략의 변화: 유럽 배제와 러시아 협력 [3:29]

트럼프 전 대통령은 유럽을 배제하고 러시아와 협력하여 중국을 견제하는 새로운 외교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나토의 기본 컨셉인 "미국의 유럽 개입, 러시아 배제, 독일 통제"와는 정반대되는 전략입니다. 트럼프는 푸틴 편을 들며 미국의 이익을 추구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며 광물 협정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과 미-러 관계 정상화 [6:4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사우스(인도, 브라질, 남아공, 사우디 등)가 부상하고 있으며, 이들은 러시아 제재에 참여하지 않고 자국의 이익에 따라 미국, 러시아, 중국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미-러 양자 회담은 러-우 종전 협상보다는 미-러 관계 정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빈 살만 왕세자의 중재 역할과 바이든 대통령의 굴욕적인 외교를 상징합니다.

트럼프의 친러시아 행보와 미국의 국익 [9:52]

트럼프가 푸틴 편을 드는 것은 푸틴이 좋아서가 아니라 미국의 이익 때문입니다. 트럼프는 유럽보다 러시아가 경제적으로 더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러시아와의 에너지 협력, 우주 협력, 북극항로 개발, 희토류 협력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유일 패권을 포기하고 다수의 강대국들이 세력권을 인정하는 다극 체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크라이나 광물 자원과 미-러의 이해관계 [18:29]

우크라이나는 핵심 광물 자원이 풍부하지만, 상당 부분이 러시아 점령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에 자원 개발 협력을 제안했지만, 트럼프는 이를 이용하여 우크라이나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자금에 대한 이자를 자원으로 상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우크라이나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유럽의 안보 위기와 홀로서기 가능성 [30:52]

트럼프가 우크라이나를 궁지로 몰고 유럽에 대해 러시아와의 관계 설정을 강요하면서 유럽은 안보 위기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유럽은 미국 없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어렵고, 나토에서 독립하는 것도 현실성이 낮습니다. 유럽 내 의견 불일치와 극우 세력의 득세는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과 젤렌스키 대통령의 운명 [40:52]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은 휴전, 우크라이나 대선에서의 레짐 체인지, 정통성 있는 대통령과의 조약 체결의 3단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푸틴은 현재 전황이 유리하고 경제도 안정되어 종전을 서두를 이유가 없으며, 국방부 장관이 제시한 최소 조건을 요구할 것입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지지율은 급락하고 있으며, 종전 협상 과정에서 정치적 운명이 소멸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한국에 대한 시사점: 안보 및 경제적 측면 [52:40]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러 관계 변화는 한국의 안보 및 경제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한국은 러시아와의 협력 페이스를 조절하고 북미 협상에서 러시아를 레버리지로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러시아 시장에 다시 진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러시아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중국 기업과의 경쟁 심화에 대비해야 합니다.

한국의 핵무장 가능성과 현실적 대안 [58:53]

한국 내 핵무장 찬성 여론이 높아지고 있지만, 트럼프는 이를 허락하지 않을 것이며, 핵무장은 도미노 현상과 핵무기 군비 경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핵실험 장소 확보의 어려움과 중국, 러시아의 제재 가능성 등 현실적인 제약이 많습니다. 따라서 핵무장보다는 동맹 관리, 외교 관리, 재래식 전력 강화가 현실적인 대안입니다. 핵 잠재력 확보(핵물질 농축 및 재처리 기술 확보)도 현실성이 낮으며, 동맹 관리와 실용적인 외교 전략이 중요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9/27/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