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은 '이렇게' 말해야 통합니다. 감정싸움 하지 마세요ㅣ지식인초대석 EP.72 (최민준 소장 1부)

남자들은 '이렇게' 말해야 통합니다. 감정싸움 하지 마세요ㅣ지식인초대석 EP.72 (최민준 소장 1부)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아들 양육의 어려움과 효과적인 의사 소통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아들의 행동 특성을 이해하고, 감정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며, 명확하고 일관된 훈육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아들의 관심사를 공유하고 인정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합니다.

  • 아들은 딸보다 공감 능력 부족으로 오해받기 쉽지만, 인정 욕구가 강하다.
  • 아들과의 대화 시 마주 보는 것보다 나란히 앉아 공통 관심사를 공유하며 소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훈육 시 감정적인 호소보다 명확하고 단호한 태도를 유지하며, 일관된 규칙을 적용해야 한다.
  • 사춘기 전, 사회적 규범과 규칙 준수의 중요성을 가르쳐야 한다.
  • 게임 통제 시 자녀의 사회적 맥락과 게임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

인트로 [0:00]

아들을 키우는 어머니들이 흔히 겪는 어려움은 아들이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특히, 감정적으로 격해질 때 아들과의 대화가 더욱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아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훈육하는 방법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구독자 인사 [0:23]

지식인사이드 채널의 한석준은 아들 연구소 최민준 소장을 초대하여 아들 양육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아들을 키우는 부모들이 흔히 겪는 어려움과 그 해결책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룰 예정입니다. 특히, 아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됩니다.

같은 자식이어도 딸보다 아들이 힘든 이유 [0:53]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90% 이상이 남자아이들을 다루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남자아이들은 준비물을 잘 챙기지 않고, 눈치가 없으며, 하지 말라는 행동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남자아이들이 공감 능력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남자아이들 사이에서는 규칙을 어기고 웃음을 유발하는 행동이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받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남자아이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남편, 아들 모두 통하는 ‘2가지’ 화법 [6:29]

아들에게 무언가를 시켜야 할 때는 눈을 보고 명확하게 지시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들의 속마음을 알고 싶을 때는 마주 보는 대화보다 나란히 앉아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며 대화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남자들은 대화 자체를 목적으로 모이는 것을 어색해하므로, 레고 조립이나 게임 등 함께 활동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딸과는 근본부터 다른 아들 키우기 [12:11]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통계에 따르면, 남자아이들이 여자아이들보다 4배 이상 많습니다. 남자아이들은 공격적인 놀이를 좋아하고 에너지가 넘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수렵 채집 본능과 유사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러한 남자아이의 특성을 이해하고 인정하면 양육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산만한 아들 무조건 말 듣게 하는 방법 [13:45]

아이의 행동을 교정할 때 가장 흔한 실수는 무조건 지적하는 것입니다. 아이의 단점에 집중하기보다는 장점을 먼저 칭찬하고 인정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산만한 아이에게 "너는 에너지가 넘쳐서 잘될 수 있다"라고 말하며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켜 줍니다. 아이들은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므로, 칭찬을 통해 자존감을 높여주면 지적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아들과 감정싸움하지 말고 ‘이렇게’ 설득하세요 [17:03]

아들이 말을 듣지 않을 때 소리 지르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명료하고 단호한 목소리로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가 하지 말라는 행동을 반복할 때는 미리 정해둔 조치 사항을 예고하고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한 번 더 밟으면 작은 방에 데려갈 거야"라고 예고한 후 실제로 데려가는 행동을 통해 규칙을 명확히 인지시켜야 합니다.

사춘기 전, 아들에게 반드시 알려줘야 할 ‘1가지’ [21:44]

사춘기 전에는 아이가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사회적으로 따라야 하는 규범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야 합니다. 보상에 익숙해진 아이는 "이걸 하면 뭘 해줄 건데?"라는 반응을 보일 수 있으므로, 규칙 준수가 당연한 것임을 인지시켜야 합니다. 아이들은 적응력이 뛰어나므로, 어른들이 단호하게 규칙을 지키는 모습을 보이면 자연스럽게 적응합니다.

화내지 않고 게임을 통제하는 ‘2가지’ 방법 [23:49]

게임 통제는 나이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합니다. 어릴 때는 부모가 통제할 수 있지만, 성장할수록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야 합니다. 아이의 적정 게임 시간은 친구들의 평균 게임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부모는 자녀가 하는 게임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자녀가 어떤 게임을 하는지, 현질을 하는지, 채팅을 하는지 등을 파악하고, 게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소통의 포인트가 다른 ‘딸과 아들’ [26:54]

딸은 친구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낄 때 아빠에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아빠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보다 딸의 감정에 공감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면, 아들은 자신의 무용담을 엄마에게 자랑할 수 있습니다. 이때 엄마는 아들의 자랑스러움을 인정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딸은 불안한 요소를 해결해 주는 것이 중요하고, 아들은 인정받고 싶어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10/18/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