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복잡계 투자 혁명의 세 번째 시간으로, 선형 계획법을 통해 종목 배분 전략을 복습하고, 프랙탈 구조를 활용한 투자 전략을 소개합니다. SBS 컨텐츠 허브 사례 분석을 통해 주당 순익 변화와 주가 흐름의 관계를 파악하고, 삼성전자와 같은 주도주 분석을 통해 투자 전략을 구체화합니다. 또한, 아세안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초기 조건의 민감성을 활용한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 선형 계획법 복습 및 SBS 컨텐츠 허브 사례 분석
- 프랙탈 구조를 활용한 투자 전략 소개 (자기 반복, 자기 닮음, 자기 순환)
- 삼성전자 등 주도주 분석 및 투자 전략 구체화
- 아세안 시장의 중요성 강조 및 초기 조건의 민감성 활용
지난 시간 복습: SBS 컨텐츠 허브 사례 분석 [0:29]
지난 시간에는 선형 계획법을 통해 종목 배분 전략을 배웠고, 숙제로 매월 고가와 저가의 변화, 중심 가격을 체크하며 우상향 또는 우하향하는지 직접 그려보는 것이었습니다. SBS 컨텐츠 허브를 예시로 들어, 고가(18,300원) 이후 급락하는 주식의 하락 파동을 분석합니다. 3, 4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주가 하락 원인을 파악하고, 적자 지속 여부와 4분기 실적 발표 시점을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세웁니다. 주당 분기 순익 변화를 고가와 저가에 계적으로 표시하여 추세를 파악하고, 주가가 실적과 디커플링되는 구간에서 매수 기회를 포착하는 전략을 설명합니다.
프랙탈 구조 소개: 자기 반복, 자기 닮음, 자기 순환 [18:15]
프랙탈 구조는 "쪼개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주식 시장에서는 자기 반복, 자기 닮음, 자기 순환의 세 가지 특성을 나타냅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예시로 들어, 상승 5파와 하락 3파의 패턴이 반복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모든 주식 시장에 절대 법칙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구조와 관련된 종목들이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상승 파동의 에너지를 분석하여 다음 에너지를 예측하는 구조론을 제시하고, 상승 파동을 1로 놓고 중심값, 38.2%, 61.8% 등의 비율을 활용하여 눌림목 조정 시 지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종합 주가 지수 및 SK 하이닉스 사례 분석 [23:04]
종합 주가 지수를 예시로 들어, 7월 25일부터 9월 19일까지 상승폭(254 포인트)에 대한 38.2%, 61.8% 조정폭을 계산하고, 실제 조정폭과 비교하여 시장 강도를 판단합니다. 1950선 돌파 여부가 향후 시장 방향을 결정할 중요 변수임을 강조합니다. SK 하이닉스 사례에서는 첫 번째 파동 진폭을 1로 놓고 38.2%, 61.8%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목표가를 설정합니다. 첫 번째 진폭의 100% 수준(24,000원)을 기준으로 상승 추세 유지 여부를 판단하고, 주당 분기 실적과 매출액을 함께 고려합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및 중소형주 투자 전략 [28:07]
시가총액 상위 종목(삼성전자, 현대차 등)은 7%, 14%, 21% 상승률을 기준으로 목표가를 설정하고, 조정 시 38.2%, 61.8% 지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현대차의 경우, 악재 속에서도 저점을 형성하는 패턴을 보이며, 23만 8천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중소형주는 21% 미만에서는 단기 매매를 지양하고, 38.2%, 61.8%, 100% 상승률을 기준으로 목표가를 설정합니다. 투기주의 경우, 61.8%, 100%, 161.8% 상승률을 기준으로 목표가를 설정하는 등 종목 특성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합니다.
다양한 패턴 분석 및 실전 응용 [36:09]
주식 시장의 다양한 패턴(지수함수적 상승, 우하향, 수렴, 순환 주기)을 분석하고, 각 패턴에 맞는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현대건설, 삼성엔지니어링 등 아세안 관련 테마주는 겨울 패턴을 보이며, 거래량 급감 후 저점 대비 21% 상승 시 봄 패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CJ 오쇼핑 등 홈쇼핑 관련주는 봄 또는 여름 초입 단계에 있으며, 상승 파동에 대한 프랙탈 구조를 분석하여 투자 전략을 수립합니다. 선형 계획법을 통해 종목을 선정하고, 프랙탈 구조를 활용하여 투자 시점과 목표가를 결정하는 전략을 강조합니다.
선형 계획법 복습 및 매트릭스 활용 [40:09]
9월 19일 고점 대비 하락 기간 동안 매수한 종목들을 분석하여 매트릭스를 만들고, 각 종목의 상승 각도와 에너지를 파악합니다. 통신 유틸리티, IT 자동차, 지주 회사 등 섹터별로 종목을 선정하고, 자산 배분 비율을 결정합니다. 목표가를 설정할 때, 종목 특성(경기 배당주, 대형주, 지주 회사)에 따라 다른 기준(25%, 38%, 61%, 7%, 14%, 21%)을 적용합니다. 과거 통계 데이터와 변동성을 측정하여 비율 잣대를 만들고, 52주 최고가, 3년 변동폭 등을 활용하여 종목의 잠재력을 평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