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유전자 편집 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문제점을 다룹니다. 유전자 가위 기술인 크리스퍼(CRISPR)의 발견과 응용, 그리고 이 기술이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유전자 편집 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문제점
-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기술의 발견과 응용
- 유전자 편집이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
유전자 편집 기술의 기본 원리
인간은 나이가 들수록 DNA 복구 시스템을 끄게 되는데, 유전자 요법을 통해 이 시스템을 인위적으로 되돌리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유전자 가위 기술은 레고 블록처럼 DNA를 잘라내고 다른 유전 형질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크리스퍼-Cas9(CRISPR-Cas9)은 3세대 유전자 가위로 현재 사용 가능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원래 세균이 바이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가지고 있던 면역 체계에서 비롯되었으며, 요거트 회사에서 유산균 연구 중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유전자 편집 기술의 잠재적 응용과 위험성
유전자 편집 기술이 확립되면 특정 능력을 가진 인간을 만들 수 있지만, 이는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2015년 국제 유전자 편집 정상회의에서는 후대로 전해지는 유전자 편집을 금지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현재는 질병 치료 목적의 유전자 편집만 허용되지만, 기술이 완전히 제어되지 않아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적 논란과 사례
중국의 허젠쿠이(He Jiankui)는 세계 최초로 유전자 편집 아기를 탄생시켰다고 주장하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는 에이즈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유전자를 편집했지만, 이는 법적, 윤리적 문제로 이어져 징역형을 선고받았습니다. 현재 유전자 편집 기술은 근육 마비나 시력 상실과 같은 특정 질병 치료에 적용되고 있지만, 고가로 인해 부유층만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순혈주의의 위험성과 유전자 다양성의 중요성
유럽 왕족들의 근친혼은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켜 부정적인 유전 형질이 강화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주걱턱은 근친혼으로 인해 악화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유전병 자체는 순혈주의 때문이 아니라, 유전적 다양성 부족으로 인해 부정적인 형질이 희석되지 않고 누적되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 학습에서도 자가 생성 데이터만 사용하면 편향된 결과가 나오는 것처럼, 유전자 다양성 확보는 매우 중요합니다.
유전자 편집 기술의 미래와 윤리적 고민
유전자 편집 기술은 과거 피임약이나 시험관 아기 시술처럼 사회적 반발에 부딪힐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인류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법적,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기술이 오남용되지 않도록 감시하는 것입니다. 유전자 기술이 경량화되면서 개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에 대한 준비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유전자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과학적 이해가 필요하며, 유전자 편집의 목적은 개인의 팔자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인류의 생존에 기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