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명' 이혼상담하고 깨달은, 자녀 결혼할 때 절대 하면 안되는 '3가지' (신은숙 변호사)

'5만명' 이혼상담하고 깨달은, 자녀 결혼할 때 절대 하면 안되는 '3가지' (신은숙 변호사)

간략 요약

이 영상은 결혼한 자녀를 둔 부모들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올바른 행동 방식에 대해 다룹니다. 특히 시대가 변하면서 과거에는 고부갈등이 주된 이혼 사유였지만, 현재는 장서 갈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와 육아 문제로 인해 장모님의 딸 집에 대한 관여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녀 결혼 시 예물, 경조사 참석, 돈 문제 등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부모와 자녀 간의 적절한 거리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녀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는 인내심을 가지라고 조언합니다.

  • 시대 변화에 따른 장서 갈등 증가와 그 원인 분석
  • 결혼 후 자녀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조언
  • 부모와 자녀 간의 적절한 거리 유지의 중요성 강조

오프닝

이 영상은 매년 8만에서 10만 건에 달하는 이혼 사례를 언급하며 시작합니다. 이혼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시어머니의 과도한 간섭을 꼽으며, 이는 며느리에 대한 편견과 아들에 대한 지나친 애정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합니다.

인사 및 소개

영상 진행자는 시청자들에게 인사를 건네며, 부모와 자녀, 부부 간의 관계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이 영상을 제작했다고 소개합니다.

요즘 완전히 뒤바뀐 ‘이혼사유’ ?

과거에는 시어머니의 아들에 대한 집착과 며느리에 대한 폄하가 이혼의 주된 원인이었지만, 현재는 장서 갈등이 주요 이혼 사유로 떠올랐습니다. 이는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와 육아 문제로 인해 장모님의 딸 집에 대한 관여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장모님은 딸을 돕고자 하는 마음에서 간섭하지만, 사위는 이를 부담스럽게 느껴 갈등이 발생합니다.

결혼한 자녀를 대하는 부모의 올바른 처신

결혼한 자녀를 대할 때 부모는 자녀를 '며느리의 남편' 또는 '사위의 아내'로 인식해야 합니다. 자녀에게 지나친 관심을 가지거나 간섭하는 것은 오히려 부부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가 스스로 결정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믿고 지켜봐야 합니다.

요즘시대 자녀와 부모의 적정 거리?

부모와 자녀 간의 적절한 거리는 자녀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자녀가 스스로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을 때 부모가 먼저 개입하는 것은 오히려 자녀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조언을 구하거나 도움을 요청할 때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식결혼할 때 하면 안될 행동-돈문제

자녀에게 돈을 지원할 때는 명확한 목적과 상환 여부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자녀가 돈을 빌려달라고 할 때는 차용증을 작성하거나 상환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녀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무리하게 대출을 받거나 재산을 처분하는 것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자식결혼할 때 하면 안될 행동-가사분담 갈등

부모는 자녀의 가사 분담에 대해 '반반'이라는 고정관념을 심어주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현실적으로 시간과 여건에 따라 가사 분담은 유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부모는 자녀가 서로 협의하여 합리적인 분담 방식을 찾도록 격려하고, 필요하다면 조언을 해 줄 수 있습니다.

자식결혼할 때 하면 안될 행동-경조사

특히 남쪽 지방에서는 5대 봉사라는 제사 문화가 존재하며, 며느리가 모든 제사에 참석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에게 제사 참석에 대한 부담을 주는 것을 피하고, 룰을 정하여 합리적인 참석 범위를 설정해야 합니다. 또한, 처가의 경조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며느리의 가족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자식결혼할 때 하면 안될 행동-경조사(처가)

처가의 경조사는 시댁의 경조사와 마찬가지로 중요하게 여겨야 합니다. 특히 장인 장모님의 부모님 제사까지 참석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처가의 행사에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며느리의 가족에 대한 존중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줄 수 있습니다.

말 한마디로 모든 것을 잃는 부모

시어머니는 며느리에게 '네가 시집와서 한 게 뭐 있니?'와 같은 비난성 발언을 삼가야 합니다. 이러한 말은 며느리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시어머니에 대한 존경심을 깎아먹을 수 있습니다.

사돈은 살면서 딱 ‘3번’만 보세요

사돈 간의 관계는 자주 만날수록 친해지지만, 동시에 서로의 약점과 실수를 더 많이 알게 되어 오히려 관계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돈은 결혼식, 장례식, 명절 등 꼭 필요한 경우에만 만나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 예물은 딱 ‘여기까지’만 하세요

자녀에게 예물을 해 줄 때는 과도한 금액을 투자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예물의 크기는 부부의 행복과 비례하지 않으며, 오히려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의 결혼 생활을 지켜보면서 필요에 따라 예물을 추가로 해 줄 수 있습니다.

자녀 상견례할 때 절대 하면 안될 행동

상견례는 자녀의 일생일대의 중요한 행사이므로, 복장과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발언이나 행동은 피해야 합니다. 특히 상견례 비용은 미리 합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식의 결혼관에 평생 영향주는 말?

자녀에게 결혼은 인생의 과정이며, 좋은 것만 찾으려고 하기보다는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해야 합니다. 결혼은 놀이가 아니며,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장하는 과정임을 강조해야 합니다.

부모와 자녀의 거리

부모와 자녀 간의 적절한 거리는 자녀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자녀가 스스로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을 때 부모가 먼저 개입하는 것은 오히려 자녀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조언을 구하거나 도움을 요청할 때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