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당을 만든다고?! (2025년7월7일 간다뉴스)

일론 머스크가 당을 만든다고?! (2025년7월7일 간다뉴스)

간단 요약

이 비디오는 2025년 7월 7일의 주요 뉴스를 요약합니다. 일론 머스크의 신당 창당 가능성, 트럼프와 EU 간의 관세 갈등, 브릭스 정상회의, 하마스 휴전안 거부, 일본의 화산 활동 및 지진, 북한의 방사능 폐수 무단 방류 의혹 등 다양한 국제적 이슈를 다룹니다.

  • 일론 머스크 신당 창당 가능성 및 트럼프와의 갈등
  • 미국과 EU 간 관세 갈등 심화 및 중국과의 통상 문제
  • 브릭스 정상회의의 중요성과 한계
  • 일본의 지진 및 화산 활동 증가와 그 영향
  • 북한의 방사능 폐수 무단 방류 의혹과 정부 조사 착수

시작

2025년 7월 7일 간다효 뉴스가 시작됩니다. 새로운 오프닝에 대한 소개와 함께, 고퀄리티 오프닝과 쌈마이 라이브의 부조화를 언급하며 유머러스하게 시작합니다.

일론머스크 신당 창당

일론 머스크가 신당 창당을 준비 중이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통과시킨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대한 반발로 해석됩니다. 이 법안은 대규모 감세, 국경 보안 강화, 그리고 저소득층 건강보험 삭감 및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포함합니다. 특히 전기차 보조금 폐지에 대해 일론 머스크는 강하게 반발하며 미국이 일당 독재 국가가 되어가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하지만 신당 창당 가능성은 자금 문제, 지역 구도, 그리고 미국 정치의 양당제 문화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트럼프는 일론 머스크를 '탈선한 열차'라고 비난하며 과거 나사 국장 임명 청탁을 거절한 사실을 폭로합니다.

트럼프와 EU 관세 압박

트럼프 정부가 EU에 관세 압박을 가하고 있으며, EU는 이를 수용하는 것을 검토 중입니다. 미국은 기본 관세 10%, 자동차 25%, 철강 및 알루미늄 50%의 관세를 요구하고 있으며, 협상이 지연될 경우 추가로 50%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EU는 트럼프의 추가적인 압박을 피하기 위해 일단 수용 후 나중에 관세를 줄이는 전략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EU 중국과도 통상갈등 중?

EU는 중국과의 통상 갈등도 겪고 있습니다. 중국산 전기차가 유럽 시장을 잠식할 것을 우려하며, 중국 정부의 과도한 보조금 지급에 대해 문제를 제기합니다. EU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최대 45.3%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으며, 실제로 중국에서 만든 테슬라에 대해서는 17.8%, 상하이 자동차에 대해서는 45.3%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은 유럽산 브랜디와 육류에 대해 반덤핑 세금을 부과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유럽은 전기차 산업에서 뒤쳐져 있으며, 중국의 급성장에 위협을 느끼고 있습니다.

여한구, 위성락 협상 위해 미국 방문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위성락 국간보실장이 미국의 대한국 관세 부과에 대한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했습니다.

브릭스 정상회의 개최, 미국 관세 비판

브라질에서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브릭스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중심으로 하며, 최근 에티오피아, 이란,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가 추가되어 11개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브릭스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다자주의를 추구하고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국제기구입니다. 브릭스 국가들은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미국의 관세 정책을 비판합니다.

브릭스 정상회의 '시진핑', '푸틴' 불참

이번 브릭스 정상회의에는 시진핑과 푸틴이 불참했습니다. 푸틴은 국제형사재판소(ICC) 체포 영장 때문에 불참했으며, 시진핑은 리창 총리를 대신 보냈습니다. 시진핑 불참 이유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근 시진핑 실각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됩니다.

하마스 휴전안 '또' 거부한 이스라엘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60일 휴전을 제안했지만, 이스라엘은 이를 거부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마스를 괴멸시키기 직전까지 왔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휴전을 통해 하마스가 재정비할 기회를 주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네타냐후 미국방문, 트럼프 집군 후 세번째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트럼프 집권 후 세 번째로 미국을 방문합니다. 이번 방문을 통해 미국과의 무기 지원 및 협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 규슈지역 화산분출, 지진 1000회 이상

일본 규슈 지역에서 화산 분출과 함께 1,000회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도카라 해역에서 1,500회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신모에다케 화산이 폭발했습니다. 이로 인해 7월 대지진설이 확산되면서 일본 여행이 감소하고 있으며, 관광 수익 감소가 예상됩니다. 홍콩 항공사는 일본 노선을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북한 방사능 폐수 무단방류 의혹, 정부 조사착수

북한이 방사능 폐수를 무단 방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정부가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예성강을 통해 방류된 폐수가 서해안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강화도 및 김포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과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당시 다국적 연구원들이 해수 시료를 채취하여 방사능 농도를 측정한 결과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던 사례가 언급됩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