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진입 전략 #2.Liquidity 이용하기

ICT 진입 전략 #2.Liquidity 이용하기

간단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기관이 유동성을 이용하여 차트를 움직이는 원리에 대한 ICT 이론을 설명하고, 다섯 가지 진입 전략 절차 중 두 번째로 중요한 유동성에 대해 분석합니다. 트레이더의 심리적 요인을 이용한 기관의 차트 이동 원리를 이해하고, 유동성이 많은 구간을 파악하여 트레이딩 전략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기관은 트레이더들의 심리를 이용하여 유동성이 있는 구간에서 거래를 체결하고 차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킵니다.
  • ICT 이론은 기관의 의도를 파악하고 유동성을 이용한 트레이딩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오래된 고점이나 저점을 뚫을 때 1분봉 차트에서 추세 변화를 확인하고 FG(Fair Value Gap)에 진입하는 전략을 소개합니다.

소개

시장은 전 세계 사람들과의 거래 공간이며, 차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관과 그 미끼를 물고 빠지려는 개인 투자자로 나뉩니다.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 굴리는 자전거 바퀴와 같아서, 기관의 의도에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기관은 개인 투자자들의 물량을 이용하여 차트를 움직이므로, 기관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동성의 개념

유동성은 ICT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에 모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설정하는 손절 지점도 유동성이 모이는 곳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기법을 사용하고 심리적으로 같은 생각을 하기 때문에, 진입과 손절은 유동성이 모이는 지점이 됩니다. 기관은 이러한 유동성을 이용하여 거래를 체결하고 차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기관의 차트 이동 원리

기관은 트랩을 사용하여 개인 투자자들을 유인하고, 그들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거래를 합니다. 예를 들어, 박스권 횡보 시 지지/저항을 이용하는 투자자들의 손절 물량을 활용하여 차트를 움직입니다. ICT 이론은 기관이 어디로 가고 싶어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전 영상에서 설명한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근 추세와 FG(Fair Value Gap)를 이용하여 기관의 의도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을 이용한 트레이딩 전략

차트는 유동성을 먹고 이동하며, 유동성이 가장 많이 분포된 오래된 고점이나 저점을 뚫을 때 더 많은 유동성이 발생합니다. 이때 1분봉 차트에서 추세 변화를 확인하고 FG에 진입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P(Take Profit)는 다음 유동성이 많이 보이는 곳, 예를 들어 롱 포지션 투자자들이 손절을 많이 설정할 것 같은 트렌드라인까지 설정합니다.

실제 차트 예시

오래된 고점을 뚫은 차트에서 1분봉으로 추세 변화를 확인합니다. 세 개의 반대 방향 캔들이 나타나면 추세가 바뀌었다고 판단하고, 그 과정에서 생긴 FG에 진입합니다. TP는 롱 포지션을 잡은 사람들이 손절을 많이 둘 것 같은 트렌드라인까지 설정합니다. 다른 예시로 오래된 저점을 뚫은 경우에도 동일한 전략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차트에서도 고점을 뚫은 후 1분봉에서 추세 변화를 확인하고 FG에 진입하는 전략을 설명합니다.

마무리

이 영상에서는 유동성을 이용하여 추세 변화를 확인하고 다음 유동성까지 먹는 전략을 소개했습니다. 하나의 이론으로 다양한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세 번째 진입 전략 절차에 대해 설명할 예정입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