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난도 교수가 들려주는 트렌드 코리아 2025 요약|풀버전

김난도 교수가 들려주는 트렌드 코리아 2025 요약|풀버전

간략 요약

이 비디오는 트렌드 코리아 2025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며, "SNAKE SENSE"라는 부제를 중심으로 10가지 트렌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 옴니보어: 다양한 취향을 소비하는 경향
  •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 소소한 일상의 가치 재발견
  • 토핑 경제: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맞춤형 소비 증가
  • 무해력: 자극 없고 순수한 것에 대한 선호
  • 원포인트업: 작은 부분에서라도 성장을 추구하는 경향
  • 그라데이션 K: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와 K-컬처의 다양성
  • 페이스테크: 얼굴 인식 기술을 활용한 편리성 증대
  • 물성매력: 직접적인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
  • 기후감수성: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소비 및 정책 변화
  • 공진화 전략: 기업 간 협력을 통한 상생 추구

2025년 트렌드 부제목 'SNAKE SENSE' [0:10]

2025년은 뱀의 해로, 뱀의 예민한 감각처럼 날카로운 감각으로 기회를 잡자는 의미에서 'SNAKE SENSE'를 부제로 정했습니다. 불황이 예상되는 시기에 뱀처럼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10가지 트렌드 키워드 분류 [0:52]

2025년 트렌드 키워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첫째,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키워드인 '옴니보어'가 있습니다. 둘째, 불황 속에서 작은 것을 중시하는 '아보하', '무해력', '토핑 경제', '원포인트 업' 등이 있습니다. 셋째, 사회, 기술, 기후, 인구 등 거시적 환경 변화를 반영하는 '그라데이션 K', '기후 감수성', '페이스테크', '물성 매력', '공진화 전략'이 있습니다.

☞트렌드 키워드 ① - 옴니보어(Omnivores) [2:20]

'옴니보어'는 잡식성이라는 뜻으로, 다양한 취향을 가진 사람을 의미합니다. 사회학적으로는 여러 취향을 소비하는 사람을 뜻하며, 집단의 차이보다 개인의 차이가 커지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옴니보어 사례 [3:00]

예를 들어, 재산이 많은 50대 이상이 다이소에서 귀여운 인형을 사서 백팩에 달고 다니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이는 성별, 나이, 재산 등 기존의 세그먼트 구분이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옴니보어가 가장 중요한, 첫 번째 키워드인 이유 [3:54]

'옴니보어'가 중요한 이유는 기존의 세그먼트 기반 마케팅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특정 타겟 세그먼트에 맞는 매체와 메시지를 선택했지만, 이제는 개인의 취향이 다양해져서 타겟 설정이 어려워졌습니다.

☞트렌드 키워드 ② -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 [4:51]

'아보하'는 '아주 보통의 하루'의 줄임말로,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했던 '소확행'을 넘어, 평범한 일상에서 만족을 찾는 트렌드를 의미합니다.

'소확행'과 '아보하'의 차이 [5:48]

'소확행'은 작은 행복을 SNS에 자랑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아보하'는 평범한 하루를 무사히 보내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둡니다. 이는 과장된 행복 대신 일상 회복을 중시하는 트렌드를 반영합니다.

☞트렌드 키워드 ③ - 토핑경제 [7:20]

'토핑경제'는 피자 토핑처럼, 기본 제품에 소비자가 원하는 요소를 추가하여 개성을 표현하는 소비 트렌드를 의미합니다.

토핑경제의 핵심 [8:53]

토핑경제의 핵심은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을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느냐입니다. 이는 단순한 커스터마이징을 넘어, 제품의 경쟁력을 기본이 아닌 추가적인 토핑으로 결정하는 시대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크록스 신발에 다양한 지비츠를 부착하여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트렌드 키워드 ④ - 무해력 [9:59]

'무해력'은 작고 귀엽고 순수한 것에 대한 선호를 의미합니다. 앙증맞은 미니어처, 귀여운 캐릭터, 자연, 대충 그린 그림 등 자극 없고 순수한 것에서 안정감을 찾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무해력이 뜨는 이유 [10:57]

무해력이 뜨는 이유는 사회에서 해가 되는 요소들이 많아지면서, 무해한 것에서 위안을 얻고자 하는 심리 때문입니다. 또한, 성취감이 약화되면서 작은 사물이나 대상에 대한 애정을 통해 통제감을 느끼려는 욕구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트렌드 키워드 ⑤ - 원포인트업 [12:14]

'원포인트업'은 자기 개발에 대한 욕망은 여전하지만, 모든 것을 완벽하게 바꾸기보다 한 가지 작은 부분이라도 개선하려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원포인트업의 3가지 유형 [13:10]

원포인트업의 세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나다운 성공을 찾는 것입니다. 둘째, 한 가지만 집중해서 개선하는 것입니다. 셋째,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끼리 서로 기록하고 공유하며 동기 부여를 받는 것입니다.

☞트렌드 키워드 ⑥ - 그라데이션 K [16:23]

'그라데이션 K'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K-컬처의 개념이 다양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바뀌어가는 K의 개념 [17:08]

과거에는 단일 민족 국가라는 자부심이 있었지만, 이제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K-컬처의 정의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원이 외국인 멤버로 구성된 K-아이돌 그룹이 등장하는 등 K-컬처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그라데이션 K의 3가지 유형 [18:00]

그라데이션 K는 사람, 문화, 시장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람 그라데이션은 다문화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지는 현상, 문화 그라데이션은 한국 문화가 외국으로 수출되는 현상, 시장 그라데이션은 외국인 시장이 확대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트렌드 키워드 ⑦ - 페이스테크 [19:34]

'페이스테크'는 얼굴 또는 표정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친근함과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페이스테크 3가지 유형 [20:08]

페이스테크는 사물을 얼굴처럼 디자인하여 친근감을 주는 기술, 기계가 표정을 읽는 기술, 얼굴 기반 이모티콘을 활용하여 소통하는 기술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페이스테크가 중요해지는 이유 [21:28]

페이스테크가 중요해지는 이유는 어포던스, 즉 사용의 용이성 때문입니다. 얼굴과 표정은 인간에게 가장 직관적인 요소이므로, 기계가 좋은 표정을 지으면 사용자는 기계를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트렌드 키워드 ⑧ - 물성매력 [22:41]

'물성매력'은 직접 만지고 경험할 수 있는 물리적 속성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트렌드를 의미합니다.

물성매력의 4가지 유형 [23:06]

물성매력은 콘텐츠, 브랜드, 기술, 조직 철학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콘텐츠 물성 화는 영화 캐릭터를 직접 만져볼 수 있는 팝업 스토어, 브랜드 물성 화는 브랜드 특성을 담은 굿즈, 기술 물성 화는 AI 로봇, 조직 철학 물성 화는 조직 철학을 반영한 사옥 디자인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물성매력이 중요해지는 이유 [25:05]

물성매력이 중요해지는 이유는 언택트 시대에 물성을 느낄 기회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물성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므로, 물성매력을 통해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트렌드 키워드 ⑨ - 기후감수성 [25:41]

'기후감수성'은 기후 변화가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닌 나의 문제라는 인식을 가지고, 소비, 비즈니스,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추구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기후 변화로 발생할 3가지 변화 [26:38]

기후 감수성은 소비 변화, 비즈니스 변화, 정책 변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소비 변화는 열대 과일 소비 증가, 비즈니스 변화는 푸드테크 산업 발전, 정책 변화는 기후 바우처 도입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감수성’ 용어를 쓴 이유 [27:55]

'감수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기후 변화가 남의 문제가 아닌 나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트렌드 키워드 ⑩ - 공진화 전략 [28:14]

'공진화 전략'은 기업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다른 기업과 협력하여 함께 진화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공진화 전략의 4가지 단계 [30:07]

공진화 전략은 폐쇄적인 생태계에서 제한된 파트너십, 협력 마을, 공진화 생태계로 발전하는 네 가지 단계를 거칩니다. 폐쇄적인 생태계는 애플처럼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하며, 공진화 생태계는 다양한 기업이 협력하여 함께 성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7/22/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