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물거림 성향 5가지 완전 분석 | 이동귀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 #유퀴즈 #어쩌다어른 #미루기 #동기부여 #자기계발 #완벽주의 | 세바시 인생질문 244회

꾸물거림 성향 5가지 완전 분석 | 이동귀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 #유퀴즈 #어쩌다어른 #미루기 #동기부여 #자기계발 #완벽주의 | 세바시 인생질문 244회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꾸물거림의 과학적 근거와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고, 꾸물거림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꾸물거림은 단순한 게으름이 아닌 감정 조절의 문제이며,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 작심삼일은 과학적 근거가 있으며, 4일째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꾸물거림은 시간 관리의 문제가 아닌 감정 조절의 문제입니다.
  • 자기 자신에게 부정적인 이름표를 붙이지 말고, 노력하는 자신을 격려해야 합니다.

작심삼일 is 사이언스?!👩‍🔬 [0:00]

작심삼일은 의지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현상입니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어 3일 동안은 효과가 유지되지만, 4일째부터는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3일 동안 잘 지키다가 4일째에 실패하면 자책하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다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루기 보다 귀여운(?) 꾸물거리기🐣 [0:48]

'미루기'라는 부정적인 단어 대신 '꾸물거림'이라는 중립적인 용어를 사용합니다. 미루기는 단순히 행동을 늦추는 것이지만, 꾸물거림은 심리적인 요인까지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꾸물거림은 해야 할 일을 알면서도 다른 일을 하거나 일을 지연시키는 현상을 의미하며, 영어로는 procrastination이라고 합니다.

취침시간 미루기😅 [2:24]

잠자리에 들기 전 휴대폰을 보면서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은 흔한 꾸물거림의 예시입니다. 알고리즘에 의해 계속 영상을 시청하게 되면서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 늦어지고, 수면 부족으로 이어져 다음 날 하루를 무겁게 시작하게 됩니다. 꾸물거림은 수동적인 경우가 많으며, 주관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게 합니다.

나의 꾸물거림 정도는?😅 [4:12]

자신의 꾸물거림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5가지 문항을 소개합니다. (1) 마감 기한이 닥쳐야 일을 시작한다, (2) 충동적인 성격이라 한 가지 일에만 매진하기 어렵다, (3) 항상 계획은 세우지만 실천하지는 않는다, (4) 어떤 일에 완전히 몰입하는게 힘들다, (5) 미루는 성격 때문에 손해를 본 적이 있다. 점수에 따라 시간 관리 능력을 평가하고, 상담이 필요한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꾸물거림 성향 5가지✋ [7:16]

꾸물거리는 사람들의 5가지 성향을 소개합니다. (1) 빨리 효과를 보고 싶어하는 성향, (2) 개인차가 크다는 점을 간과하는 성향, (3) 지나치게 낙관적인 성향, (4) 반항심이 강한 성향, (5) 완벽주의 성향. 각 성향에 따라 꾸물거림의 원인이 다르므로, 자신에게 맞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만 먹으면!!!’ 비현실적 낙관주의🫣 [11:55]

비현실적인 낙관주의자는 일을 시작하기 전에 예상 시간과 실제 소요 시간의 차이가 큽니다. 또한,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잘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행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생각을 줄이고 작은 행동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15분 동안 행동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꾸물거리는 사람이 해야할 것🤓 [16:57]

꾸물거림은 시간 관리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 조절의 문제입니다. 자신을 게으른 사람이라고 단정짓지 말고,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반드시 해야 한다"와 같은 강박적인 표현을 피하고, "할 수 있을 것이다"와 같이 유연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심삼일은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현상이므로, 4일째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9/2/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