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91

건강보험-91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치과 청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환자 사례에 대한 청구 절차를 안내합니다. 만성 치주염 진단, 스케일링, 치주 소파술과 같은 다양한 치료를 다루며, 올바른 청구 코드, 마취 유형, 약물 처방을 강조합니다. 또한 초진 및 재진 환자 산정 기준과 치주 소파술 청구 시 주의사항을 설명합니다.

  • 만성 치주염 환자의 스케일링 및 치주 소파술 청구 방법 안내
  • 초진/재진 산정 기준 (30일/90일) 및 치주 소파술 횟수 제한 설명
  • 마취 종류에 따른 청구 코드, 약물 처방 및 의약품 관리료 청구 방법 안내

연습 문제 91번: 강해인 환자 사례

강해인 환자는 3월 18일과 4월 25일 두 차례 내원했습니다. 3월 18일에는 아래 어금니 통증으로 내원하여 파노라마 촬영 결과 만성 단순 치주염(K05.30)으로 진단받고 전악 스케일링을 진행했습니다. 4월 25일에는 26, 27번 치아와 34~37번 치아에 대해 치주 소파술(큐레타지)을 시행했습니다.

3월 18일 진료 청구

3월 18일 진료에 대해 전악 치석 제거를 청구합니다. 치주 치료 예정이므로 '연 1회'가 아닌 '1분악당'으로 선택합니다. 파노라마 필름 촬영 비용을 추가하고, 교재와 달리 디지털 촬영이므로 필름 재료 관련 코드는 삭제합니다. 월이 지날 때는 치주 치료 예정이라는 설명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총 진료비는 89,100원이며, 본인부담금은 26,800원입니다.

4월 25일 진료 청구: 재진 및 치주 소파술

4월 25일은 재진으로 청구합니다. 만성 질환 치료의 종결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초재진 산정 기준은 30일이 아닌 90일 단위로 적용됩니다. 26, 27번 치아에 대한 치주 소파술은 치아가 두 개이지만 한 부위로 인정되어 1회로 산정합니다. 치주 소파술은 한 악당 3회, 전악 6회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상악은 치면 마취(디카인 원플 사용), 하악은 하치조 신경 전달 마취(리도케인 앰플 원 앰플 사용)를 시행했습니다.

마취 및 약물 처방 청구

마취와 관련된 의약품 관리료는 의원급에서는 1일당으로 지급되므로, 이미 처치에 포함되어 있다면 별도로 추가하지 않습니다. 아목시실린 캡슐과 타이레놀을 하루치 처방하고, 처방전 번호는 10번입니다.

최종 청구 금액

4월 25일 진료는 재진으로, 20번대와 30번대 치주 소파술, 하악 전달 마취, 상악 치면 마취를 포함하여 총 진료비 67,210원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