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본 영상은 최근 밥값 상승의 원인과 식량 위기의 심각성을 분석하고, 농업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기후 변화와 에너지 가격 상승이 농산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 식량 위기의 기준, 그리고 농업 스타트업의 역할과 성장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 밥값 상승의 주요 원인은 기후 변화와 에너지 가격 상승입니다.
- 식량 위기는 단순히 식품 부족을 넘어, 국내 농산물 생산량 감소와 가격 급등을 포함합니다.
- 농업 스타트업은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통해 농업 혁신을 주도할 수 있습니다.
소개
선물 농업 연구소 남재 장은 스마트 농업, 기후 변화, 탄소 중립 연구와 이를 비즈니스 모델로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밥값 상승의 원인
최근 밥값 상승의 주요 원인은 복합적인 경제 위기와 기후 변화입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비료 생산 비용을 증가시켜 농산물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치며,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은 농산물 생산량 감소를 초래합니다. 2020년 54일간의 장마로 벼 수확량이 감소했고, 캐나다에서는 토마토 흉작으로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기후 변화의 속도가 식물이 적응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식량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식량 위기의 기준
식량 위기는 단순히 슈퍼마켓에서 식품을 구하지 못하는 상황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국내 농산물 생산량이 10% 이상 감소하거나, 농산물 가격이 2.5% 이상 급등할 때도 식량 위기로 간주합니다. 1980년대 쌀 생산량이 30% 감소했을 때, 쌀을 최대 6배 가격으로 수입해야 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IPCC 6차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에서 2040년 사이에 지구 평균 기온이 1.5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식량 위기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의 영향
현재 지구는 산업화 이전 시대보다 평균 기온이 1.1도 상승한 상태이며, 유럽과 인도 등 일부 지역은 이미 5도 이상 상승했습니다. 시베리아 지역까지 35~40도까지 상승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산불 발생 면적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온 상승은 농산물 생산량 감소로 이어지며, 식량 위기를 심화시킵니다. 탄소 중립을 달성하더라도 과거로 되돌아가는 것은 불가능하며,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농업의 과제와 미래
지구 평균 기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곡물 생산량은 3~1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2050년에는 약 96억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수준으로 인구를 부양하려면 농산물 생산량을 35% 더 늘려야 합니다. 농업 생산량 증가와 함께 식품 폐기물을 줄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농업 인프라 구축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농업 비즈니스의 방향
농업은 탄소 중립과 생물 다양성 회복에 기여해야 합니다. 한국 농업은 농장주 평균 연령이 높고, 청년 농부 비율이 낮으며, 농가 규모가 영세하다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농업 스타트업은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통해 농업 혁신을 주도할 수 있습니다. 농식품 산업은 자동차, 반도체, 철강 산업을 합친 것보다 규모가 크며,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큽니다.
농업 스타트업의 성장
농업 스타트업은 기술 혁신을 통해 시장을 개척하고, 농가 숫자를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성장합니다. 농산물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지만, 기술이 안정화되면 꾸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식량 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농업 스타트업은 급격한 성장은 어렵지만, 안정적인 기반을 만들 수 있어 투자 매력이 있습니다.
결론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는 농업 혁신에 달려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