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관절, 발목관절, 해부학적 위치와 방향 , 견갑골 부위별 명칭, 관절 움직임과 해부학적 움직임면(시상면)

무릎관절, 발목관절, 해부학적 위치와 방향 , 견갑골 부위별 명칭, 관절 움직임과 해부학적 움직임면(시상면)

간단 요약

이 비디오는 필라테스 자격증 과정의 일부로, 인체 해부학적 구조와 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심층적인 설명을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팔꿈치, 손목, 어깨, 엉덩이, 무릎, 발목 관절을 포함한 다양한 관절의 뼈 구조와 기능에 대한 자세한 분석.
  •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한 신체 부위의 위치와 방향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
  • 굴곡, 신전, 과신전과 같은 관절 움직임의 종류를 설명하고, 이러한 움직임이 일상생활 및 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필라테스의 장점과 단점을 논의하고, 특히 근육량 증가와 유산소 운동 효과에 대한 한계를 지적.
  • 척추의 과신전과 관련된 운동 오류를 지적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 방법을 제시.

어깨 관절과 팔꿈치 관절의 뼈 구조

강의는 먼저 지난 강의에서 다루지 못했던 팔꿈치 관절의 뼈 구조에 대해 설명합니다. 상완골의 대결절과 소결절, 결절간구를 설명하고, 이두박근의 위치와 역할을 설명합니다. 또한, 요골과 척골의 위치를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팔꿈치 관절이 상완골, 요골, 척골로 구성되어 있음을 강조합니다.

손목 관절과 조면

손목 관절은 손의 뼈와 요골, 척골이 연결되어 형성됩니다. 요골 조면과 척골 조면은 뼈의 거친 면을 의미하며, 근육이 부착되는 지점입니다. 조면은 해부학 용어에서 뼈의 거친 면을 의미하며, 근육의 정지점이기도 합니다.

골반과 고관절

고관절은 관골구와 대퇴골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엉덩관절이라고도 합니다. 고관절은 어깨 관절과 마찬가지로 여덟 가지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강사는 과거 트레이너 생활을 하면서 겪었던 경험을 공유하며, 남 밑에서 일할 때와 창업 후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무릎 관절의 구조와 기능

무릎 관절은 대퇴골, 경골, 비골로 구성됩니다. 무릎 관절은 슬개대퇴 관절과 경대퇴 관절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슬개골은 무릎 중앙에 위치한 뼈로, 대퇴골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PFPS)은 흔한 무릎 통증의 원인이며, 슬개골의 압박력이 증가할 때 발생합니다. 무릎의 각도가 많이 굽혀질 때, 특히 계단을 내려갈 때 슬개골의 압박력이 증가합니다.

무릎 관절의 연골과 인대

무릎 관절에는 연골과 인대가 있습니다. 연골은 관절의 마찰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합니다. 반월상 연골은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인대입니다. 십자인대 손상은 반월상 연골 손상과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목 관절의 구조와 기능

발목 관절은 경골, 비골, 거골로 구성됩니다. 발목 관절은 족관절이라고도 합니다. 거골은 발목 관절을 구성하는 중요한 뼈입니다.

해부학적 위치와 방향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앞(anterior), 뒤(posterior), 위(superior), 아래(inferior), 안쪽(medial), 바깥쪽(lateral), 몸쪽(proximal), 먼쪽(distal)과 같은 위치와 방향을 설명합니다. 견갑골의 내측연과 외측연, 견봉, 오훼돌기, 관절와, 극하와, 극상와, 견갑하와, 관절하결절, 관절상결절 등을 설명합니다.

어깨 관절과 고관절의 비교

어깨 관절과 고관절은 여덟 가지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어깨 관절이 더 잘 움직입니다. 어깨 관절은 안정성을 잃어가면서까지 가동성을 추구합니다. 고관절은 안정성이 높지만, 가동성이 제한됩니다.

필라테스의 장점과 단점

필라테스는 누워서 하는 운동이 많아 중력의 스트레스를 덜 받습니다. 하지만 유산소 운동 효과가 부족하고, 근육량 증가에 한계가 있습니다. 필라테스는 코어 근육 강화에 효과적이지만, 전신 근력 강화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관절 움직임의 종류

관절 움직임은 시상면, 가로면, 이마면에서 발생합니다. 시상면에서는 굴곡과 신전이, 가로면에서는 회전이, 이마면에서는 외전과 내전이 일어납니다.

시상면에서의 움직임

시상면에서는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이 일어납니다. 어깨 관절, 고관절, 무릎 관절, 척추, 발목에서 굴곡과 신전이 일어나는 것을 설명합니다. 과신전(hyperextension)은 정상적인 신전 범위를 넘어선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척추의 과신전 오류

척추의 과신전은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백 익스텐션, 덩키 킥, 데드리프트와 같은 운동에서 척추의 과신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의 과신전 또한 목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