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조선 후기에 68년 동안 일기를 쓴 무관 노상추의 삶을 조명합니다. 그의 일기를 통해 당시의 사회, 경제, 정치적 상황과 개인의 고뇌를 엿볼 수 있습니다.
- 노상추는 문관을 꿈꿨으나 가문의 상황과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무관의 길을 선택했습니다.
- 과거 시험 준비의 어려움, 관직 생활의 고충, 당쟁 속에서의 갈등, 가족과의 사별 등 그의 파란만장한 삶이 일기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 일기를 통해 조선 후기 양반의 삶과 사회 변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서론 [0:00]
조선 후기 양반 노상추의 17세부터 68년간의 일기가 남아 있으며, 이를 통해 그의 삶과 당시 사회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일기는 1763년부터 시작되며, 매년 그 해의 간지로 제목을 붙여 책으로 엮었습니다. 노상추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일기를 쓰기 시작했으며, 68년 동안 거의 매일 기록을 남겼습니다.
무관의 길을 걷게 된 배경 [2:45]
노상추는 경북 구미 선산 출신으로, 그의 가문은 무과 급제자가 많았습니다. 특히 그의 할아버지 노개정은 병마절도사를 지내며 영조의 신임을 얻었습니다. 노상추는 문관이 되고 싶었지만, 영남 남인 가문 출신으로 문과 급제가 어려웠고, 집안의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무과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무관은 문관에 비해 멸시를 받았고, 영남 지방에서는 특히 심했습니다.
무과 도전과 합격 [12:01]
노상추는 무과 시험 준비를 위해 활쏘기 연습에 매진했습니다. 그는 한 해 겨울 동안 화살 5천 발을 쏘았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과거 시험에는 무예 기술 외에도 경국대전이나 병법서에 관한 필기 시험이 있었습니다. 그는 32세에 첫 시험을 치른 뒤 35세에 합격했습니다. 과거 시험을 위해 한양까지 먼 길을 이동해야 했고, 많은 비용이 들었습니다.
관직 생활의 어려움과 당쟁 [26:22]
노상추는 과거 합격 후에도 오랫동안 관직을 얻지 못했습니다. 그는 선전관 추천을 기다렸지만, 영남 남인이라는 이유로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급제 후 4년 만에 선전관에 들게 되었지만, 이후에도 중앙과 지방의 말단 무관직을 전전했습니다. 그는 갑산 동변장이라는 직책을 받자 자신의 세력이 없어 쫓겨나는 것이라 한탄했습니다. 당시 무관들은 인사 적체, 과도한 업무, 세력 부재로 인한 차별 등에 불만이 많았습니다.
정조의 총애와 변방 생활 [29:44]
노상추는 활쏘기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정조의 눈에 띄게 되었습니다. 정조는 그에게 파격적으로 정삼품 삭주부사직을 내렸습니다. 삭주부사 시절, 그는 영의정 채제공과 인연을 맺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변방 생활은 녹록치 않았습니다. 지방관들이 대부분 노론이라 사사건건 대립했고, 당파 싸움으로 인해 고달픈 생활을 했습니다.
가족과의 사별과 시대의 아픔 [36:07]
노상추는 세 번 결혼했지만, 첫 번째 아내와 두 번째 아내는 아이를 낳거나 산후조리 중에 목숨을 잃었습니다. 세 번째 아내는 돌림병으로 사망했습니다. 당시 조선 시대에는 출산 중 사망하는 여성들이 많았고, 전염병이 창궐하여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노상추가 살았던 시대는 소빙하기로, 기후 변화가 심하고 가뭄과 홍수가 빈번했습니다.
신유박해와 사회 변화 [45:26]
정조 승하 후 노상추는 홍주 영장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홍주에 부임한 해는 신유년으로, 신유박해가 일어난 해였습니다. 홍주는 천주교가 급속도로 퍼지고 있었고, 노상추는 천주교를 금지하는 국법을 따르면서도 근절되지 않는 현실에 한탄했습니다. 당시 조선 사회는 새로운 변화의 국면에 들어서고 있었지만, 노상추는 기존 질서 의식을 갖고 있어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지 못했습니다.
산송과 몰락하는 양반 [48:51]
노상추는 서울 집안과 묘지 문제로 소송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산송이 빈번해졌고, 국법이 그 빌미를 제공했습니다. 노비가 줄어들고 부유한 평민이 늘어나면서 하층민도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역동적인 시기였습니다. 가세가 기울어 몰락하는 양반들도 있었습니다.
결론 [54:26]
노상추는 84세로 사망하기 직전까지 일기를 썼습니다. 그의 일기를 통해 우리는 그의 삶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의 시대상을 생생하게 엿볼 수 있습니다. 그의 삶은 야망과 도전, 절망과 아픔으로 가득했지만, 그는 충실히 자신의 길을 걸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