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심찬우 강사는 중학생들의 어휘력 부족 실태를 언급하며, 어휘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어휘력 부족은 사고력 저하와 소통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하며, 일상에서 잘 쓰지 않는 단어라도 그 뜻을 알고 사용하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또한, 이공계 출신들의 글쓰기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만년필로 일기를 쓰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사고를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업에서 배우는 단어들을 꾸준히 사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국어 영역은 꾸준한 노력을 통해 실력이 향상될 수 있다고 격려합니다.
- 어휘력 부족은 사고력 저하와 소통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 일상에서 잘 쓰지 않는 단어라도 그 뜻을 알고 사용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 만년필로 일기를 쓰는 경험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사고를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 국어 영역은 꾸준한 노력을 통해 실력이 향상될 수 있다.
어휘력 부족 실태와 문제점
최근 중학생들의 어휘력 실태를 보여주는 자료를 통해 심각성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이 '시나브로'를 '신나부러'로, '오금이 저린다'를 지하철역으로 이해하는 등, 기본적인 어휘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어휘력 부족은 단순히 단어의 뜻을 모르는 것을 넘어, 문맥 속에서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 저하로 이어집니다. 심지어 '중식 제공'이라는 단어조차 오해하는 사례가 발생하며, 이는 학생들의 문해력 수준이 심각한 상황임을 시사합니다.
어휘력 부족의 원인과 결과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영상 콘텐츠 소비가 늘면서 글자를 읽는 경험이 줄어들고, 이는 어휘력 부족의 한 원인이 됩니다. 어휘력 부족은 사고력 저하로 이어져,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표현할 수 있는 단어의 폭이 좁으면 세상을 좁게 보게 되고, 이는 더 큰 세계에서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데 장애를 초래합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단어라도 그 의미를 정확히 알고 사용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공계 출신 글쓰기의 문제점과 만년필의 효용
이공계 출신들은 간결한 수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텍스트로 설명할 때 중언부언하거나 의미가 중복되는 등 글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심찬우 강사의 형님은 만년필로 일기를 쓰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하루를 정리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합니다. 손글씨 쓰기는 인지 능력 발달에 효과적이며, 만년필로 글을 쓰는 행위는 자신의 생각을 더욱 깊이 있게 표현하고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어휘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국어 학습의 중요성
빠르고 효율적인 것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사소하고 귀찮은 것들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업을 들을 때만큼은 단어 하나하나에 의문을 가지고,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포스트잇이나 메모장에 사용하고 싶은 어휘의 용례를 적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연습을 통해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국어 영역은 수학이나 탐구와 달리 명확한 답이 떨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느낄 수 있지만, 꾸준히 노력하면 어느 순간 실력이 향상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앞으로 사회생활을 하면서 누군가를 설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풍부한 어휘력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