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독서 교육 전문가 최승필 작가와 함께 아이들의 문해력과 독서법에 대한 오해를 풀고, 실질적인 독서 지도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아이들의 성적이 급격히 변하는 시기, 문해력을 측정하는 방법, 효과적인 독서법, 그리고 부모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 문해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커집니다.
- 재미있는 독서가 아이의 언어 능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 부모는 아이에게 책 선택권을 주고, 함께 독서하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인트로
최승필 작가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갈 때 아이들의 성적이 급격하게 변하는 시기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초등학교 우등생이 중학교에서 성적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갈 때는 혼돈스러운 성적 변화가 나타납니다. 이러한 변화는 아이의 언어 능력, 즉 문해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아이들 성적의 급 변동기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올라갈 때 성적이 하락하는 이유는 과목이 많아지고 교과서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중학교에서는 문해력이 낮아도 우등생이 있을 수 있지만, 고등학교에서는 문해력이 낮은 학생이 좋은 성적을 받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모든 교육 과정에서 문해력이 핵심이며, 특히 고등 교육 과정에서는 더욱 중요합니다.
집에서 문해력을 측정하는 법
아이의 문해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국어 과목을 유독 싫어하거나, 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를 관찰하는 것이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책을 읽고 독서 퀴즈를 통해 내용을 얼마나 이해했는지 직접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아이의 수준에 맞는 책을 선택하고 퀴즈를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을 많이 읽지 않은 아이는 2년 정도 학년을 낮춰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부에 도움이 되는 독서법은?
독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이가 재미있는 책을 스스로 선택해서 읽도록 해야 합니다. 재미있는 독서가 아이를 성장시키며, 언어 능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책 한 권을 푹 빠져 읽는 것이 여러 권을 대충 읽는 것보다 효과적입니다. 독서는 글자를 읽는 행위가 아니라, 책에 담긴 언어 사고를 내 머리로 재생해 보는 행위입니다.
아이에게 책 권하지 마세요
아이에게 책을 억지로 권하는 것은 오히려 독서에 대한 흥미를 잃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책 선택권을 주고, 스스로 읽고 싶은 책을 고르도록 해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독서를 독서답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뛰어난 독서가의 두 가지 조건
뛰어난 독서가는 책을 얼마나 좋아하는지와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 두 가지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는 틈만 나면 책을 읽고, 문해력이 뛰어나 책의 내용을 잘 이해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책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도와주고, 독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합니다.
독서가를 만드는 부모의 역할
부모는 일주일에 한 번씩 아이와 함께 도서관에 가서 책을 고르고, 가족 독서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아이는 아이 책을 읽고, 부모는 부모 책을 읽으면서 함께 독서하는 시간을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독서를 즐거운 활동으로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독서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문해력을 올리려면, 몇권 읽으면 되나요
문해력은 쉽게 올라오는 능력이며, 5권 정도의 책만 재밌게 읽어도 문해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책을 많이 읽는 것보다 한 권의 책을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선택하도록 도와주고, 독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에 몇분 정도 독서가 적당한가요?
상위 1% 독서가의 독서량은 일주일에 4~5시간 정도입니다. 가족 독서 시간을 주 5일, 하루 40분으로 정하면 적당합니다.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려오고, 아이와 함께 책을 읽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령대별 최소 권장 독서시간
연령대별로 권장되는 최소 독서 시간은 다릅니다. 영유아는 읽어주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고, 초등 1~2학년은 읽기 독립이 안 되었을 경우 짧게 읽어야 합니다. 초등 3학년은 30분, 초등 4학년 이상은 40분 정도가 적당합니다. 아이의 특성과 상황에 맞춰서 독서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미있는 책을 고르는 팁
책을 잘 읽는 아이는 재밌게 읽을 책을 알아보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아이가 도서관에서 스스로 책을 고르도록 하고, 책 구경을 많이 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선택에 실패한 책은 초반부를 읽었는지 확인하고, 재미없어하면 다른 책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몇권의 책을 읽어야, 성적이 오르나요?
중학생 기준으로 2주에 한 권씩 총 12권의 책을 읽으면 수능 국어 영역 점수가 5~20점 정도 오를 수 있습니다. 점수 격차는 얼마나 재밌게 읽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이가 독서 현상을 경험할 수 있는 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습만화, 스토리텔링 지식책에 대해
학습 만화는 콘텐츠 퀄리티가 낮고, 스토리텔링 형식의 지식 책은 이야기 전개가 어색한 경우가 많습니다. 초등 단계에서는 지식 독서보다는 흥미 있는 분야의 책을 읽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식은 영상이나 현장 학습을 통해 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책을 많이 안 읽고, 공부 잘하는 경우는
책을 많이 읽지 않아도 공부를 잘하는 경우는 사고를 체계적으로 하는 경우입니다. 독서의 효과는 책을 읽는 동안 생각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소에 생각을 많이 하는 아이는 책을 읽지 않아도 문해력이 높을 수 있습니다. 질문이 많은 아이, 꼼꼼하고 집요한 아이도 책을 많이 읽지 않아도 공부를 잘할 수 있습니다.
공부 잘하는 애들은 원래 책 좋아하잖아요?
독서가는 우연히 만난 한 권의 책으로 태어납니다. 문해력이 낮은 상태에서는 책을 읽기 힘들지만, 재밌는 책을 만나면 독서를 좋아하게 될 수 있습니다. 책을 좋아해서 많이 읽은 아이는 문해력이 높아지고, 공부를 잘하게 될 수 있습니다.
끝이라고 생각했지만, 끝이 아닌 시작이었던 경험
인생에서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그것이 죽을 일인지 아닌지 생각해 보면 감정적 거리를 두고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됩니다. 지금이 끝이라고 느껴서 힘든 분들께 희망의 메시지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