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차 평화

12주차 평화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평화의 두 가지 종류(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를 살펴보고, 기독교에서 말하는 진정한 평화는 사랑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예수님의 가르침과 요한의 변화된 삶을 예시로 들어, 타인의 허물을 덮어주고 사랑으로 감싸는 것이 평화를 이루는 핵심임을 설명합니다.

  • 평화에는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가 있다.
  • 기독교적 평화는 사랑을 통해 실현된다.
  • 타인의 허물을 덮고 감싸는 것이 사랑의 실천이다.

소개 및 평화의 정의

문유미는 평화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시작하며, 현대 사회가 입시, 취업, 육아 등 다양한 전쟁으로 가득 차 있음을 지적합니다. 평화의 두 가지 종류인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를 소개하며, 소극적 평화는 강자가 약자를 억압하여 유지되는 위장된 평화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소극적 평화의 예: 영화 "메리 크리스마스"

소극적 평화의 예로 영화 "메리 크리스마스"를 소개합니다. 1차 세계대전 중 크리스마스에 적군끼리 잠시 평화를 누렸지만, 곧 잔혹한 전쟁이 재개되는 상황을 통해 소극적 평화의 한계를 보여줍니다. 이는 일시적인 평화일 뿐, 진정한 평화가 아님을 강조합니다.

적극적 평화와 영화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적극적 평화는 정의가 구현된 진정한 평화이며, 모두가 행복하고 안전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영화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에서 트래버가 제안한 도움 피라미드 아이디어를 소개하며, 세상을 바꾸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하지만 적극적 평화는 실현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대한민국의 현실과 갈등

대한민국은 여전히 전쟁이 끝나지 않은 나라이며, 보수와 진보 간의 갈등, 남녀 갈등, 가정 내 갈등 등 다양한 갈등이 존재합니다. 직장 내에서도 끊임없는 갈등이 벌어지는 현실을 언급하며, 이러한 상황에서도 평화를 이룰 수 있는지 질문합니다.

예수님의 사랑과 평화

기독교에서는 예수님이 사랑을 통해 평화를 이루셨다고 가르칩니다. 성경 속 이야기를 통해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영원한 삶을 얻는 방법임을 설명하고, 강도 만난 사람을 돕는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통해 진정한 이웃 사랑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베드로의 배신과 요한의 사랑

예수님의 제자 베드로가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한 사건을 소개하며, 요한복음에서는 이 사건을 다른 복음서보다 간략하게 기록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요한은 베드로의 잘못을 드러내기보다는 덮어주고 싶어했으며, 이는 사랑의 중요한 특성인 허물을 덮어주는 것을 보여줍니다.

사랑의 특성과 요한의 변화

성경에서 말하는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어주는 것이며, 다른 사람의 허물과 잘못을 감싸주는 것입니다. 요한은 원래 성격이 급했지만, 예수님의 사랑을 통해 변화되어 사랑의 사도가 되었습니다.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은 결국 사랑이며, 누군가가 나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사랑의 힘과 기독교인의 삶

태양과 바람의 비유를 통해 강압이 아닌 부드러움과 이해가 사람의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기독교인들이 신앙생활을 하는 이유는 벌을 받을까 봐 두려워서가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에 감동했기 때문입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사랑의 가치관을 통해 누군가의 허물을 사랑으로 감싸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랍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