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도 절대 추천 안합니다" 진짜 솔직하게 말씀드려요. '이 검진'은 웬만하면 받지 마세요 l 강형창 원장

"의사들도 절대 추천 안합니다" 진짜 솔직하게 말씀드려요. '이 검진'은 웬만하면 받지 마세요 l 강형창 원장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건강검진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검진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암은 만성 질환처럼 관리할 수 있으며,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국가 건강검진은 최소한의 검사만을 제공하므로, 추가적인 검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검진을 피하고, 자신에게 맞는 검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암은 조기 발견 시 만성 질환처럼 관리 가능
  • 국가 건강검진은 최소한의 검사만 제공
  • 불필요한 검진을 피하고 필요한 검진을 추가
  • 자신에게 맞는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

인트로 [0:00]

국가에서 제공하는 건강검진은 최소한의 검사만을 포함하며, 모든 암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과도한 검사는 오히려 몸에 해로울 수 있으며, 검사를 위한 검사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의료기관을 선택하고, 필요한 검사를 추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직 의사가 말하는 건강검진의 실태 [0:35]

건강검진은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한 투자이며, 질병은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진행되므로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암은 과거와 달리 치료법이 발전하여 만성 질환처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암이 몸속 장기의 기능을 저해할 때 문제가 되므로, 초기 관리와 발견이 중요합니다.

사망률 부동의 1위 ‘암’ [1:27]

암은 사망 원인 1위이지만, 좋은 약과 치료법 덕분에 잘 관리하면 장수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나 당뇨처럼 꾸준한 관리와 검사를 통해 암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암은 초기 발견 시 관리가 용이하며, 암세포가 중요한 장기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라에서 국가건강검진을 권하는 진짜 이유 [2:53]

국가 건강검진은 20세 이상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대사 질환과 일부 암 검사를 포함합니다. 이는 국민 건강 증진과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것으로, 미수검 시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 건강검진을 통해 본인 건강도 체크하고, 암 발생 시 국가 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건강검진에서 받을 수 있는 암 항목들 [4:40]

국가 건강검진에서는 위암, 간암, 유방암은 40세부터, 대장암은 50세부터, 자궁경부암은 20세 여성, 폐암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검진을 제공합니다. 검진 항목은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은 암 중에서 경제적인 검사 방법을 기준으로 선정됩니다.

‘이걸’ 몰라서 국가건강검진만 받다가 돌아가십니다 [5:15]

국가 건강검진은 최소한의 검사만을 제공하므로, 다른 암을 놓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췌장암 3기 진단을 받은 환자의 사례처럼, 국가 검진만으로는 모든 암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건강에 신경 쓰는 사람들은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의사가 딱 찍어주는 건강검진 BEST 5 & WORST 5 [6:24]

건강검진 항목은 매우 다양하며, 비싼 검사가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몸에 나쁜 검사도 있고, 과도하게 정밀한 검사는 불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요도가 떨어지는 불필요한 검사와 꼭 해야 하는 검사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걸 굳이...? 쓸모 없는 검진 BEST 5 ‘첫 번째’ (PET-CT) [7:26]

PET-CT는 방사성 물질을 사용하여 몸 안의 활동적인 부분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암 진단 후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방사선 노출량이 높아 DNA 변형과 암세포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미세한 염증까지 잡아내 불필요한 추가 검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진 목적으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걸 굳이...? 쓸모 없는 검진 BEST 5 ‘두 번째’ (복부 CT) [9:06]

복부 CT는 췌장, 신장, 담도 등 복부 깊숙한 곳에 있는 장기를 검사하는 데 사용되지만, 방사선 노출 위험이 큽니다. 또한, 조영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콩팥에 독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60세 이상이거나 특정 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주치의와 상의 후 고려할 수 있지만, 젊은 나이에는 불필요한 검사일 수 있습니다.

이걸 굳이...? 쓸모 없는 검진 BEST 5 ‘세 번째’ (뇌 MRI) [10:15]

뇌 MRI는 뇌경색, 종양, 치매 등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지만, 기억력 저하나 두통으로 인해 검사하는 경우 대부분 이상이 발견되지 않습니다. 방사선 노출 위험은 없지만, CT보다 비용이 비싸므로 자주 검사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걸 굳이...? 쓸모 없는 검진 BEST 5 ‘네 번째’ (암 표지자) [11:03]

암 표지자 검사는 혈액 검사를 통해 암을 조기에 진단한다고 홍보하지만, 실제로는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추적 관찰용으로 사용됩니다. 암이 걱정된다는 이유만으로 검사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수치가 높더라도 대부분은 아무런 이상이 없습니다.

이걸 굳이...? 쓸모 없는 검진 BEST 5 ‘다섯 번째’ (심장 초음파) [11:57]

심장 초음파는 심부전, 선천성 심기형, 큰 수술을 앞둔 고혈압 환자 등에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심장이 걱정된다고 해서 검사해도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중요한 검사는 아닙니다.

꼭 한번은 해야 하는 검진 BEST 5 ‘첫 번째’ (복부 초음파) [12:33]

복부 초음파는 신장암, 췌장암, 담도암 등 복부 장기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는 안전한 검사입니다. 2년에 한 번씩 국가 건강검진 시 추가로 받는 것이 좋으며, 복부 통증 등 증상이 있을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꼭 한번은 해야 하는 검진 BEST 5 ‘두 번째’ (갑상선 초음파) [13:33]

갑상선암은 젊은 나이에 많이 발견되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예후가 매우 좋습니다. 5년 평균 생존율이 100%를 넘을 정도로 완치율이 높습니다. 4년에 한 번씩 갑상선 초음파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꼭 한번은 해야 하는 검진 BEST 5 ‘세 번째’ (뇌 MRA) [14:05]

뇌 MRA는 뇌 혈관을 중점적으로 보는 검사로, 뇌동맥류를 미리 찾을 수 있습니다. 뇌동맥류는 증상이 없다가 터지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간단한 코일 시술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30대 이후 평생에 한 번 정도는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한번은 해야 하는 검진 BEST 5 ‘네 번째’ (경동맥 초음파) [15:29]

경동맥 초음파는 목에 있는 경동맥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여 심장 및 뇌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혈관벽이 딱딱하거나 콜레스테롤 찌꺼기가 보일 경우, 심장 및 뇌혈관 질환을 조기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40대부터 4년 간격으로 검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꼭 한번은 해야 하는 검진 BEST 5 ‘다섯 번째’ (혈액, 소변) [16:00]

기본적인 혈액 및 소변 검사는 몸 전체의 이상 유무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가능하다면 6개월에 한 번 정도 검사하는 것이 좋으며, 다른 이유로 병원에 방문했을 때 함께 검사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검사 시 금식을 지키면 당뇨와 고지혈증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이렇게’ 받으세요 최고의 꿀팁 BEST3 [17:05]

건강검진은 사람이 하는 일이므로, 자신과 잘 맞는 의료진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 곳을 정해 꾸준히 검진을 받는 것이 좋으며, 공장형 검진 센터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진 프로필을 확인하고, 내과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진 성수기인 11월, 12월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암 전문의가 구독자 여러분에게 [18:18]

암 전체의 5년 평균 생존율은 72%로 높지만, 여전히 불치병이며, 진단 후에는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건강검진을 잘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6/24/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