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 요약
이 강의는 영어 문장 연결과 비교 표현, 특히 부사절 접속사, 명사절 접속사, 관계대명사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사절 접속사: 시간과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when, if, after, before)의 사용법과 주의사항
- 명사절 접속사: that절을 이용한 명사절 구성 및 가주어 it의 활용
- 관계대명사: who, which, that, what을 이용한 문장 연결 및 선행사와의 관계
문장 연결 1: 부사절 접속사
두 문장을 연결하기 위해 접속사가 필요하며, 접속사로 연결된 문장이 부사 역할을 할 때 이를 부사절 접속사라고 합니다. 절은 주어와 동사를 포함한 단어 집합체입니다. 시간과 조건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부사절 접속사로는 'when(~할 때)'과 'if(만약 ~한다면)'가 있습니다. 부사절에서는 미래 시제 대신 현재 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If it rains tomorrow, I will stay at home"에서 'rains'는 현재 시제이지만 미래의 일을 나타냅니다.
문장 연결 2: 부사절 접속사 After & Before
After와 Before는 전치사뿐만 아니라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After와 Before를 접속사로 사용할 때는 선후 관계에 주의해야 합니다. 'After A, B'는 A가 먼저 일어난 후에 B가 발생했다는 의미이고, 'Before A, B'는 B가 일어난 뒤에 A가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After와 Before가 접속사로 사용될 때는 뒤에 주어와 동사가 오는 반면, 전치사로 사용될 때는 명사, 대명사, 동명사가 뒤따릅니다.
문장 연결 3: 명사절 접속사 That
접속사를 포함한 절이 명사 역할을 하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은 '~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됩니다. 목적어일 경우 that은 생략 가능합니다. 주어가 긴 경우 가주어 it을 사용하고 that절을 문장 뒤로 보냅니다. 예를 들어, "That he came here yesterday is true"는 "It is true that he came here yesterday"로 바꿀 수 있습니다.
문장 연결 4: 관계대명사 Who
관계대명사는 두 문장을 연결할 때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양쪽 문장에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가 있어야 하며, 이 명사를 선행사라고 합니다. 선행사가 사람이면 관계대명사 who를 사용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은 앞 문장의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가 뒤의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면 주격 관계대명사,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문장 연결 5: 관계대명사 Which
동물이나 사물이 선행사일 때는 관계대명사 which를 사용하여 두 문장을 연결합니다. Who와 마찬가지로 which가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면 주격 관계대명사,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는 동사의 목적어뿐만 아니라 전치사의 목적어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장 연결 6: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과 사물 선행사 모두에 사용할 수 있으며, who나 which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선행사가 최상급이거나 something과 같은 부정 대명사가 올 때 that을 사용합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문장에서 목적어 역할을 할 때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문장 연결 7: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what은 '~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What은 명사절 역할을 하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What he saw was shocking"에서 what he saw는 주어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