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한균수님이 연휴 후 주식 시장 전망과 주요 이슈를 분석합니다. 밸류업 프로그램, 미중 무역 협상, 일론 머스크와 트럼프 간의 갈등, 그리고 이재명 대통령 관련 정책 테마주 등을 다루며, 특히 바이오 섹터의 강세 전환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 밸류업 프로그램 지속 가능성 및 바이오 섹터 강세 전환
- 미중 무역 협상과 히토류 관련 이슈 해소
- 이재명 대통령 정책 관련 가상자산 및 STO 테마 주목
소개
연휴 동안의 주요 뉴스(시진핑-트럼프 통화, 이재명-트럼프 통화)를 요약하고, 히토류, 드론, 유리기판, 머스크-트럼프 갈등, 남북 경협, 원전 등 다양한 재료들을 언급합니다. 시장이 재료에 잘 반응하고 있으며, 이재명 대통령 당선 후 정책 테마주 순환매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합니다. 미국발 재료 관련주도 급등하는 등 시장이 건전하고 튼튼하다고 분석합니다.
미국 증시 및 국내 증시 분석
나스닥과 S&P 500 등 미 증시를 분석하며, 특이 사항은 없었으나 테슬라 급락 등 개별 종목 이슈가 있었다고 언급합니다. 코스피는 저 PBR 종목, 지주사, 금융주 강세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코스닥은 바이오 부진으로 코스피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코스닥 강세 전환 가능성을 언급하며, 그 이유를 설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B2B 증가 및 블룸버그 보고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B2B(빚내서 투자)와 대차잔고 증가, 신용거래 증가를 언급하며, 이는 투자 심리 개선과 거래대금 증가로 이어진다고 분석합니다. 블룸버그 보고서를 인용하여 한국 증시가 다른 나라 증시보다 저평가되어 있으며,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PBR이 1.3~1.4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주요 일정 및 미중 무역 협상
이번 주 주요 일정으로 애플 WWDC와 소비자물가지수를 언급하고, 특히 목요일 상법 개정안 처리와 테슬라 로보택시 시범 운영 시작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통화 내용을 분석하며, 고위급 추가 협상, 히토류 관련 이슈 해소 등을 언급합니다. 히토류 관련주는 미중 무역 협상 완화 시 오히려 약세로 전환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일론 머스크와 트럼프의 갈등
일론 머스크와 트럼프 대통령 간의 설전을 소개하며, 트럼프는 머스크를 "미쳤다"고 비난하고, 머스크는 트럼프의 감세안을 비판하며 "배은망덕하다"고 주장합니다. 머스크가 새로운 정당을 만들어 정치에 참여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로 인해 테슬라 주가가 급락하고 우주항공 관련주가 상승하는 등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타이거 지주 ETF 및 바이오 섹터
타이거 지주 ETF를 통해 저 PBR 관련주 흐름을 분석하며, 장 초반 강세 후 하락 마감했지만, 하락 구간에서 바이오 섹터로 수급이 이동했다고 분석합니다. 코스피 대비 코스닥 부진 원인이 바이오 섹터 부진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바이오 섹터 강세 전환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밸류업 프로그램과 바이오 섹터의 관계
과거 윤석열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당시 상황을 언급하며, 당시에는 입법 불발로 정책 동력이 상실되었으나, 현재는 여대야소 상황으로 입법 가능성이 높아 밸류업 프로그램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합니다. 과거 저 PBR 강세 시 바이오 섹터가 약세를 보였던 점을 언급하며, 현재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코스피 레버리지 및 투자 전략
코스피 레버리지를 저 PBR 상승과 동일한 포지션으로 보고, 이미 막차는 출발했다고 평가합니다. 저 PBR이 쉬어가는 구간에서 바이오 섹터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이러한 관전 포인트를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세울 것을 제안합니다.
바이오 섹터 심층 분석
바이오 섹터 강세 전환 시 플랫폼 바이오 종목들이 투심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쓰리빌리언, 온코닉테라퓨틱스, 온코크로스 등 신규 상장 플랫폼 기업들을 주목합니다. ABL바이오, 리가켐바이오, 마이테오젠, 에이프릴바이오, 지아이이노베이션 등 기존 플랫폼 바이오 기업들의 강세도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이재명 대통령 정책 테마 및 가상자산
이재명 대통령 관련 정책 테마로 저 PBR, 상법 개정, 스테이블 코인 등을 언급하며, 특히 가상자산 시장 육성과 스테이블 코인 발행에 주목합니다. 가상자산 2단계 법안 제정, 현물 ETF 허용,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 등 친 코인 정책을 소개하며, 정책실장으로 해시드 오픈 리서치 대표 출신 김용범 씨를 임명한 점을 강조합니다.
STO 관련주 분석 및 투자 전략
STO(증권형 토큰) 관련주로 카카오페이, 컴투스홀딩스, 네오이즈홀딩스 등을 언급하며, 특히 카카오페이가 대장주로 급부상한 점을 강조합니다. 핑거, 아톤, 다날, 갤럭시아머니트리 등 기존 STO 관련주도 함께 주목하며, 탄소배출권, 로봇, 남북경협, 신재생에너지 등 다른 정책 테마도 함께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세울 것을 제안합니다.
남북 경협주 및 드론 관련주
남북 경협주 중 개성공단 관련주(좋은사람들, JST나)만 움직이고 있다고 언급하며, 인디에프 등 다른 종목으로 순환매가 나올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드론 관련 행정 명령 서명으로 드론 산업 육성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제이씨현시스템, 에이럭스, 네온테크 등 드론 관련주를 소개합니다.
삼성전자 및 IT 섹터 분석
삼성전자가 7만 원대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IT 섹터 전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습니다. 유리기판 관련주(YC켐, 필옵틱스, 심텍, 캠트로닉스) 등 고베타 IT 종목에 주목하며,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등 CXL 관련주도 함께 고려할 것을 제안합니다.
마무리
시장이 좋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경우 주식 투자가 쉬워질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긍정적인 시장 분위기 속에서 수익을 극대화할 것을 당부하며, 방송을 마무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