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이 비디오는 전기 기술자가 현장에서 패널의 전기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패널의 전압을 점검하여 정상임을 확인합니다.
- 퓨즈가 끊어진 것을 발견하고 교체했지만, 계속해서 퓨즈가 나가는 문제를 겪습니다.
- 원인을 찾기 위해 외부 연결을 확인하던 중 경광등에 물이 차서 합선이 발생한 것을 발견합니다.
- 경광등 회로를 차단하고 퓨즈를 교체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패널을 정상 작동시킵니다.
문제 진단 시작 [0:02]
전기 기술자는 패널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 도착합니다. 먼저 메인 전압을 확인하기 위해 삼성 4선식 차단기를 점검합니다. RST 상에서 380V가 나오는지, R 상과 T 상에서 220V가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전압은 정상적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컨트롤 차단기로 보이는 2P 차단기에서도 220V가 정상적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합니다. 하지만 PBL 램프가 켜지지 않고 컨트롤이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발견합니다.
퓨즈 점검 및 교체 시도 [1:01]
차단기를 내리고 퓨즈를 점검한 결과, 퓨즈가 끊어진 것을 확인합니다. 퓨즈의 저항을 측정했을 때 저항값이 나오지 않아 퓨즈가 나간 것을 확신합니다. 새 퓨즈를 가지고 와서 교체한 후 차단기를 올리자마자 퓨즈가 다시 끊어지는 것을 확인합니다. 퓨즈가 터지면서 스파크가 튀는 것을 보고, 다른 원인이 있음을 인지합니다.
단자대 분리 및 추가 퓨즈 교체 시도 [2:07]
퓨즈 단자대 쪽의 선을 풀어서 삼상 모터 쪽이 아닌 220V로 나가는 단자대를 분리합니다. R 전원 쪽에 저항을 측정하고, 퓨즈를 다시 교체해 봅니다. 하지만 차단기를 올리자마자 또 다시 퓨즈가 끊어집니다. 기술자는 이러한 경우 단락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문제 원인 발견: 경광등 누전 [3:18]
외부 선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주변을 살펴보던 중, 경광등에 물이 가득 차 있는 것을 발견합니다. 경광등이 220V 컨트롤 회로에 연결되어 있어 누전이 발생한 상황임을 파악합니다. 경광등이 파손되어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었고, 이로 인해 합선이 발생한 것입니다. 작업자에게 경광등이 필요 없는지 확인 후, 경광등 회로를 차단하기로 결정합니다.
문제 해결 및 시스템 복구 [4:39]
경광등 회로를 차단한 후 새 퓨즈를 꽂고 차단기를 올립니다. 이번에는 퓨즈가 끊어지지 않고 PBL 램프가 정상적으로 들어오며 컨트롤 회로가 작동합니다. 문제의 원인이 경광등의 누전이었음을 확인하고, 임시 도면을 통해 회로를 설명합니다. 단자대를 풀었던 이유와 EOCR 전원에서 저항을 측정한 이유를 설명하며, 사이렌의 단락으로 인해 RT 상간에 저항값이 낮게 측정되었음을 언급합니다.
작업 마무리 및 현장 정리 [8:16]
경광등 회로를 차단하고 퓨즈를 교체하여 집진기 패널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킵니다. 단자대를 다시 결선하고 패널을 정리한 후 현장을 마무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