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살면 행복하다" 사는 게 재미없고 무기력할 때 공자가 내놓은 해법 (박재희 교수 1부)

"이렇게 살면 행복하다" 사는 게 재미없고 무기력할 때 공자가 내놓은 해법 (박재희 교수 1부)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삶의 의미를 찾는 대신 재미를 추구하고, 외부 평가에 흔들리지 않으며, 현재를 즐기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논어의 가르침을 통해 현대인의 걱정을 다스리고, 욕심을 억지로 버리기보다는 채우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실패를 통해 배우고 앞으로 나아가는 삶의 자세를 제시합니다.

  • 의미보다 재미를 추구하는 삶
  • 외부 평가에 흔들리지 않는 독립적인 삶
  • 현재를 즐기고 작은 것에서 행복을 찾는 삶

인트로

삶의 의미와 방향에 대한 고민에 대해, 동양 철학에서는 의미보다는 재미를 찾는 것을 강조합니다. 값비싼 음식이나 거창한 목표가 아닌, 맛있는 인생을 사는 것이 중요하며, 여덟 가지 맛있는 삶의 방식, 즉 인생팔미를 통해 삶의 재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직업, 공부, 음식, 건강, 풍류, 봉사, 성찰 등 다양한 영역에서 맛을 느끼며 현재를 상쾌하고 만족스럽게 살아가는 것이 행복의 핵심입니다.

구독자 인사

동양 철학자 박제남은 삶에 꼭 의미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며, 의미를 찾는 데 집착하기보다는 삶의 재미를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애써서 찾지 마세요” 삶에 꼭 의미가 없어도 괜찮은 이유

의미를 찾는 데 몰두하기보다는 삶에서 재미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인생팔미'라는 여덟 가지 삶의 방식을 소개합니다. 직업에서 즐거움을 찾고, 공부를 통해 성장하며, 맛있는 음식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고, 풍류를 즐기며, 봉사활동을 통해 타인을 돕고, 자기 성찰을 통해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의 만족을 중시하며, 작은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쾌족'의 삶을 강조합니다.

논어에서 말하는 ‘행복한 삶’에 대한 조건

논어에서는 인간을 머리, 마음, 몸으로 사는 세 종류로 구분하며, 이 중 즐거움을 추구하는 '낙지자'가 가장 행복하다고 말합니다. 공자는 제자 안회를 통해 즐거움을 찾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어려운 환경에서도 즐거움을 잃지 않는 안회의 태도를 높이 평가합니다. 머리로 계산하거나 좋고 싫음을 따지기보다는, 온몸으로 즐기며 사는 것이 논어에서 말하는 가장 위대한 삶의 방식입니다.

현대인의 근심 걱정을 치료하는 ‘논어’의 가르침 - 1

공자는 세상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것에 대한 근심을 가졌지만, 남들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화내지 않는 것이 진정한 독립적인 인간, 즉 군자라고 결론 내립니다. 남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가는 것이 중요하며, 공자의 가르침은 지친 현대인들에게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를 듣고 살아가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현대인의 근심 걱정을 치료하는 ‘논어’의 가르침 - 2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피하지 말고 직시하며, 역경조차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해녀의 경험을 예로 들어, 파도를 피하는 대신 타는 것이 생존의 비결임을 설명하며, 공자의 가르침처럼 역경을 즐기는 자에게는 고통이 더 이상 고통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현대인의 근심 걱정을 치료하는 ‘논어’의 가르침 - 3

예민한 성격을 인정하고, 작은 일에 스트레스받는 자신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 예민한지, 왜 작은 일에 모든 것을 걸어야 하는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는 것이 예민함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현대인의 근심 걱정을 치료하는 ‘논어’의 가르침 - 4

하루 종일 아무것도 안 하고 빈둥거릴 바에는 핸드폰이라도 보는 것이 낫다는 논어의 구절을 소개하며, 핸드폰 보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성찰하고 공부하며 인간관계를 맺고 삶을 즐기는 것이 더 높은 수준의 하루를 보내는 방법임을 강조합니다.

억지로 ‘욕심’을 버리려고 하면 안 되는 이유

논어에서는 욕심을 버리기보다는 채우는 것을 강조하며, 유교와 도교의 균형을 통해 인생의 두 박자를 맞출 것을 권합니다. 비움은 채움 이후에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먼저 목표를 세우고 달성한 후에 비움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집착은 인간의 본능이지만, 집착이 슬픔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기대를 버리고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못된 결정으로 인생 꼬였다면 ‘이것’만 기억하세요

인간은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존재임을 인정하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자가 아끼던 제자 아회처럼, 잘못을 저질렀을 때 인정하고 성찰하여 다시는 같은 실수를 하지 않는다면 훌륭한 인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제대로 된 인생을 살고 있는지 깨닫는 방법

인생에는 정답이 없으며,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과거에 잘못됐다고 생각했던 일이 나중에 잘된 일로 여겨질 수도 있으므로, 현재의 판단에 얽매이지 않고 시간을 두고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걸 포기하고 싶다면 ‘이렇게’ 살아보세요

꿈이 세상에 펼쳐지지 않아 인생이 꼬였다고 생각될 때, 공자는 뗏목을 타고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라는 메시지를 던집니다. 현재의 어려움에 갇히지 말고,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떠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인생에 반전을 가져오는 ‘3가지’ 고전 글귀 - 1

덕본제말(德本財末)은 사람이 근본이고 재물은 따라온다는 뜻으로, 장사는 사람을 남기는 것이라는 임상옥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합니다. 돈을 벌기 위해 손님을 대하는 것이 아니라, 손님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면 돈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는 가르침입니다. 스티브 잡스 역시 마음을 쫓으면 돈과 명성이 따라온다고 말했습니다.

인생에 반전을 가져오는 ‘3가지’ 고전 글귀 - 2

군자삼계(君子三戒)는 군자가 인생을 살면서 시기마다 경계해야 할 세 가지를 의미합니다. 어렸을 때는 색욕, 청장년기에는 경쟁심, 늙어서는 노욕을 경계해야 합니다. 나이가 들어도 욕심을 버리지 못하고 자리를 지키려는 모습은 안타까울 수 있으므로, 시기마다 경계해야 할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인생에 반전을 가져오는 ‘3가지’ 고전 글귀 - 3

고신얼자(孤臣孽子)는 외로운 신하와 서자라는 뜻으로, 맹자는 세상에서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징이 좋은 집안이나 학벌이 아닌, 버림받은 사람들이라는 역설적인 주장을 합니다. 결핍이 삶에 대한 태도를 더 강하게 만들고 생각을 깊게 만들며, 부족한 것이 오히려 경쟁력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공맹 철학의 가르침입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