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 요약
본 영상은 인공지능(AI) 분야의 변곡점이 다시 시작되었다는 주제로, 최근 AI 관련 뉴스들을 분석하고 투자자에게 주는 함의를 다룹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HBM 메모리 수요 폭증: 오픈AI의 HBM 메모리 수요 언급으로 하이닉스 등 반도체 주가가 급등했으며, 이는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Sora 2 출시: 오픈AI의 새로운 영상 AI 모델 Sora 2가 출시되어 앱스토어 1위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영상 AI 시대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데이터 저장 공간 수요 증가: 영상 AI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하드디스크, SSD 등 데이터 저장 공간 수요가 증가하고 관련 회사들의 주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 오픈AI의 대규모 컴퓨팅 계약: 오픈AI가 AMD와 대규모 컴퓨팅 계약을 체결하며 AI 인프라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과도한 투자로 인한 재정적 위험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투자 시 주의점: AI 업황이 좋지만 레버리지 몰빵 투자는 자제하고, 빅테크 기업의 현금 흐름, 신주 발행, 오픈AI의 자금 조달 상황 등을 주시해야 합니다.
오픈AI의 HBM 메모리 수요 발표와 반도체 시장 [0:42]
오픈AI의 샘 알트만이 한국을 방문하여 HBM 메모리 수요가 월 90만 웨이퍼에 달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현재 글로벌 HBM 생산량의 두 배가 넘는 수치로, 하이닉스 주가가 10% 급등하는 등 국내 주식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알트만이 직접 HBM 수요를 언급한 것은 HBM 확보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동시에, HBM의 중요성이 부각된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모건 스탠리 또한 마이크론의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이러한 흐름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HBM을 넘어선 메모리 반도체 전반의 호황 [3:51]
HBM 수요 증가와 더불어 레거시 디램 생산량 부족 현상이 발생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전반에 걸쳐 호황이 예상됩니다. HBM 생산에 자원을 집중하면서 기존 디램 생산량이 감소했고, 이와 동시에 레거시 디램 수요가 증가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사이클이 시작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픈AI의 영상 AI 모델, Sora 2 출시 [4:47]
오픈AI에서 텍스트 기반 AI 모델인 채GPT에 이어 영상 AI 모델인 Sora 2를 출시했습니다. Sora 2는 독립적인 영상 제작뿐만 아니라 틱톡과 연동하여 AI 생성 영상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앱스토어 1위를 기록하며 초기 반응은 폭발적이지만, 과도한 보호 장치로 인해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ora 2가 영상 AI 모델의 혁명과 대중화를 이끌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됩니다.
영상 AI 시대와 데이터 저장 공간 수요 증가 [8:33]
Sora 2의 성공 가능성을 고려할 때, 텍스트 AI 시대에서 영상 AI 시대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저장 공간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품질 동영상은 텍스트나 이미지에 비해 훨씬 많은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하드디스크, SSD 등 관련 회사들의 주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SSD나 플래시 메모리 위주의 사업을 하는 회사들의 주가가 더 많이 오르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 SSD 수요가 더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오픈AI와 AMD의 대규모 컴퓨팅 계약 [11:22]
오픈AI가 AMD와 대규모 컴퓨팅 계약을 체결하여 내년부터 MI450 칩을 시작으로 AMD GPU를 총 6GW 어치 구매하기로 약정했습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전체 AI 인프라의 6배에 달하는 규모로, 오픈AI의 AI 인프라 확장에 대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계약 달성 시 오픈AI는 AMD 주식을 최대 10%까지 취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AMD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하지만 엔비디아가 오픈AI에 투자한 상황에서 오픈AI가 AMD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오픈AI의 공격적인 투자와 재정적 위험 [13:54]
오픈AI는 최근 3~4개월 동안 오라클, 엔비디아, AMD 등과 총 30GW 어치의 컴퓨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AI 전체 인프라의 30배에 달하는 규모로, 오픈AI가 지구를 정복할 컴퓨팅 파워를 얻거나 파산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파이낸셜 타임스에서는 테크 기업들의 현금 흐름 압박을 지적하며 AI 케팩스 투자가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오픈AI는 매출액에 비해 영업 손실이 과도하며, 추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AI 투자 시 주의점 및 결론 [15:32]
AI 업황은 긍정적이지만 레버리지 몰빵 투자는 자제해야 합니다. 빅테크 기업의 현금 흐름, 신주 발행, 오픈AI의 자금 조달 상황 등을 주시해야 하며, 예상치 못한 리스크에 대비해야 합니다. 투자는 하되 조심하자는 신중한 투자 전략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