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의 마지막 히든카드 'AI 수석' 공개에 국힘도 화들짝 놀라 인정하며 고개 숙여 반성.. "尹 정부와 차원이 다른 행보입니다" (김정호) #끝내주는경제 (0619_목)

이재명의 마지막 히든카드 'AI 수석' 공개에 국힘도 화들짝 놀라 인정하며 고개 숙여 반성.. "尹 정부와 차원이 다른 행보입니다" (김정호) #끝내주는경제 (0619_목)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AI 시대가 한국에 가져다줄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고, 한국이 AI 강국으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전략과 과제를 제시합니다.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는 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으로 HBM(고대역폭 메모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이 HBM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AI 패권을 장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AI 데이터 센터 구축, 인재 양성, AI 벤처 기업 육성, 전력 문제 해결 등 다양한 과제를 해결해야 AI 시대에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 AI 시대는 인간의 지식 노동과 육체 노동을 대체하는 새로운 시대이며, 국가 경쟁력의 핵심은 AI 기술력에 달려 있습니다.
  • HBM은 AI 시대의 핵심 반도체 기술이며, 한국은 HBM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AI 패권을 장악해야 합니다.
  • AI 데이터 센터 구축, 인재 양성, AI 벤처 기업 육성, 전력 문제 해결 등 다양한 과제를 해결해야 AI 시대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에서 AI 시대로

디지털 시대는 1과 0의 숫자로 표현되는 정보와 통신의 자유를 가져다주었으며, CPU와 디램,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퀄컴 등이 디지털 생태계를 이루었습니다. 반면 AI 시대는 인간의 두뇌를 대체하는 시대로, 인간의 정신적 노동과 육체 노동을 대체하고, AI를 지배하는 국가나 기업이 세계를 지배하게 될 것입니다. AI 시대에는 인간이 쓸모없어질 위험성과 패권이 인공지능에 맞춰져 있으며, AI 기술력을 확보한 국가만이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AI 시대의 약점과 한국의 생존 전략

AI의 가장 큰 약점은 반도체 성능에 좌우된다는 점, 전기를 너무 많이 소비한다는 점,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한국은 반도체 기술, 전력 문제 해결, 막대한 자금 확보, 인재 양성 등 AI 기술 개발에 필요한 요소들을 해결해야 합니다. 특히 HBM 기술은 한국의 무기가 될 수 있으며, HBM 기술이 무너지면 한국의 반도체 산업과 AI 자주권이 무너지고 경제가 붕괴될 수 있습니다.

GPU와 HBM의 관계

GPU는 AI 계산에 특화된 프로세서이며, HBM은 GPU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고대역폭 메모리입니다. AI 시대에는 GPU 성능이 중요해지면서 엔비디아 주가가 상승하고 있으며, HBM은 GPU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한국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HBM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으며, HBM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엔비디아를 역전시킬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합니다.

소버린 AI 논쟁과 AI 자주

하정우 대통령실 AI 수석은 소버린 AI를 주장했지만, 김정호 교수는 AI 자주, AI 독립 국가라는 표현을 선호합니다. AI의 독립성이 없으면 국가의 독립성이 없으며, AI 반도체와 전기가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것입니다. 특히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이 없으면 AI 기술 종속이 심화될 수 있으며, 한글에 특화된 LM 파운데이션 모델이 없으면 한글이 사라질 위험성이 있습니다.

GPU 확보 경쟁과 HBM의 중요성

AI 모델 개발에는 GPU 대수가 중요하며, GPU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대학에서는 GPU 부족으로 AI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GPU 수가 개인, 학교, 기업,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합니다. 엔비디아의 약점은 HBM에 있으며, HBM 기술력을 높여 엔비디아와의 협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삼성은 HBM에 전력 투구하여 HBM 시장에서 성공해야 하며, 삼성의 성공이 국가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삼성의 HBM 성공 전략

삼성전자는 과거 HBM 사업을 중단했지만, AI 시대 도래를 인지하고 HBM 사업에 다시 집중해야 합니다. 기업 문화와 개발 방식을 AI 중심으로 바꾸고, 삼성 AI와 같은 회사를 설립하여 AI 인프라에 투자해야 합니다. HBM4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전력 소모를 줄이고, 전력망 설계를 개선하고, 열 냉각 기술을 확보하고, 패키징 기술을 강화해야 합니다.

AI 시대와 전력의 관계

AI 시대에는 반도체의 전력 소비량이 급증할 것이며, AI 데이터 센터마다 기가와트(GW) 단위의 전력이 필요합니다. 반도체의 전력 소비를 줄이면 속도가 저하되므로, AI는 전기를 많이 소비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실리콘 반도체의 물리적 한계 때문에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으며, 양자 컴퓨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AI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전력 문제 해결이 필수적이며, 소형 원자력 발전소(SMR) 건설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AI 데이터 센터의 중요성

AI 데이터 센터는 AI 슈퍼컴퓨터가 집적된 시설로, AI 계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AI 데이터 센터는 데이터 저장뿐만 아니라 AI 모델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연산 능력을 제공하며, 유연성과 확장성을 갖춰야 합니다. 국가 주도의 AI 데이터 센터 구축 시에는 GPU, 소프트웨어, 스펙 등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기업 주도와 국가 지원을 통해 AI 데이터 센터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한국 AI 시대 성공을 위한 제언

한국이 AI 시대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AI 데이터 센터 구축, AI 인재 1만 명 양성, AI 벤처 기업 10개 육성 등이 필요합니다. AI 인프라 구축과 인재 육성은 국가의 책임이며, AI 벤처 기업 육성을 통해 국가 경제를 발전시켜야 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AI에 목숨을 걸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AI에 대한 투자가 대한민국의 생존과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