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동기?공부의지?아이 공부시키는 방법은 '이것'!!(조선미교수)[대기자상담]

공부동기?공부의지?아이 공부시키는 방법은 '이것'!!(조선미교수)[대기자상담]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자녀의 학습 부진으로 고민하는 부모의 사연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모 주도 학습의 함정: 어릴 때 엄마 주도 학습은 아이를 수동적으로 만들고, 학습의 즐거움만 강조하면 고통을 회피하게 만듭니다.
  • 학습 맷집의 중요성: 초등 저학년 때부터 적절한 학습량을 통해 집중력과 끈기를 키워야 합니다.
  • 부모의 역할 변화: 청소년기에는 잔소리를 멈추고 아이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주며, 입시보다는 인생 전체를 보는 관점이 필요합니다.
  • 공부는 억지로 하는 것: 공부는 즐거움만으로는 지속하기 어려우며, 일정량의 학습은 습관처럼 해야 합니다.

고민 사연 소개 [0:25]

고1 형제를 둔 어머니가 어릴 때부터 엄마표 교육과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아이들을 키웠지만, 중학교 자유학년제 이후 아이들이 공부를 전혀 하지 않아 고민이라는 사연입니다. 형제는 이해력과 암기력이 뛰어나지만, 현재 내신은 7등급이며, 시험 때마다 어머니와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어머니는 자괴감과 우울감을 느끼며, 아이들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어려움을 토로합니다.

문제 원인 분석: 엄마 주도 학습의 함정 [3:29]

어머니의 적극적인 엄마표 교육이 오히려 아이들을 수동적으로 만들었을 수 있습니다. 계획, 판단, 정보 탐색 등 주도적인 학습 과정에서 아이들이 배제되었고, 엄마가 제공하는 즐거운 학습 경험만으로는 학습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능력을 키우기 어렵습니다. 아이들은 고통스러운 것은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을 수 있습니다.

학습 맷집의 중요성 [6:45]

초등학교 1~2학년 때부터 일정 시간 동안 앉아서 숙제하는 훈련을 통해 집중력을 키워야 합니다. 너무 많은 학습량은 공부에 대한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지만, 아예 노력을 하지 않으면 싫은 일을 참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는 아이로 자랄 수 있습니다. 자유학년제와 코로나19로 인해 또래와의 비교를 통한 자극이 부족했던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부모의 역할 변화와 잔소리의 역효과 [13:06]

청소년기에는 부모의 잔소리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잔소리를 방어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고,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잃게 됩니다. 부모는 간섭을 줄이고 아이 스스로 미래에 대해 고민할 시간을 주어야 합니다. 또한, 입시 결과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 아이의 인생 전체를 보는 관점이 필요합니다.

공부는 억지로 하는 것 [16:50]

공부는 즐거움만으로는 지속하기 어려우며, 억지로 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모르는 것을 이해하고 통합하여 잠재의식 속에 저장하는 어려운 과정이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부모는 아이가 일정량의 학습을 습관처럼 하도록 지도해야 하며, 학습 맷집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교 공부와 숙제는 당연히 해야 하는 일로 인식시키고, 과도한 도움이나 간섭은 피해야 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9/24/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