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돈을 버는 것뿐만 아니라 모으고, 쓰고, 불리고, 유지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돈은 중력과 같아서 일정 금액 이상이 되면 스스로 불어나는 힘을 가지며, 인격체처럼 대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이 불규칙한 수입보다 더 강력하며, 고생해서 번 돈이 공짜로 얻은 돈보다 가치가 높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성공 후에도 이러한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며, 남의 돈을 대하는 태도가 곧 자신의 돈을 대하는 태도와 같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가 이루어질 때까지 유보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 돈을 버는 능력 외에 모으고, 쓰고, 불리고, 유지하는 능력이 중요
- 돈은 중력과 같은 힘을 가지며, 인격체처럼 대해야 함
-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이 불규칙한 수입보다 강력
- 고생해서 번 돈이 공짜로 얻은 돈보다 가치 높음
- 남의 돈을 대하는 태도가 자신의 돈을 대하는 태도와 동일
돈에 대한 오해와 진실 [0:00]
흔히 돈을 많이 벌면 부자가 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돈을 버는 능력 외에도 돈을 모으고, 쓰고, 불리고, 유지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능력들은 각기 다르며, 돈을 많이 버는 것만으로는 부를 유지하고 늘릴 수 없습니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이 반드시 행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행복을 키우는 데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돈은 마치 기름진 밭과 같아서, 행복이라는 씨앗을 뿌렸을 때 더 많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돈은 중력과 같다 [3:59]
돈은 중력과 같은 속성을 지니고 있어서, 일정 금액 이상이 되면 스스로 불어나는 힘을 갖게 됩니다. 처음 1억 원을 모으는 데 100의 노력이 필요했다면, 두 번째 1억 원을 모으는 데는 더 적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돈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사업 또한 마찬가지로, 매장 하나를 운영하다가 300개까지 늘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그 이후에는 순식간에 확장될 수 있습니다.
돈은 인격체다 [5:05]
돈은 스스로 존재하고 생각하며, 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돈은 자기가 좋아하는 곳과 싫어하는 곳이 있으며, 함께 모여 있는 것을 좋아하고 헤어지는 것을 싫어합니다. 따라서 돈을 인격체처럼 대해야 합니다. 작은 돈을 함부로 대하면 큰 돈을 모을 수 없고, 돈을 낭비하면 돈은 떠나갑니다. 좋은 일에 돈을 쓰면 돈은 다시 돌아오며, 큰 돈은 제대로 보내줘야 합니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의 힘 [7:29]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불규칙한 수입보다 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달 100만 원씩 버는 사람이 한 번에 1,000만 원을 버는 사람보다 더 힘이 센 이유는,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조직화된 돈과 같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돈은 다른 돈들을 이길 수 있으며, 매달 꾸준히 들어오는 수입이 큰 목돈보다 더 중요합니다.
고생해서 번 돈의 가치 [9:20]
고생해서 번 돈은 공짜로 얻은 돈보다 훨씬 더 큰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복권 당첨이나 유산 상속 등으로 얻은 돈은 쉽게 흩어지지만, 땀 흘려 번 돈은 그 가치가 다릅니다. 성공은 많은 사람들의 슬픔과 고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공한 후에도 이러한 점을 잊지 않고 돈을 관리해야 합니다.
남의 돈을 대하는 태도 [10:59]
남의 돈을 대하는 태도는 곧 자신의 돈을 대하는 태도와 같습니다. 친구들과 회비를 모아 사용할 때나 공공물품을 사용할 때, 남의 돈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야 합니다. 회사의 돈을 사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경계하고, 자신의 지분만큼 다른 사람들의 지분도 존중해야 합니다. 돈에 대한 철학을 이해하고 수각이론처럼 돈을 모으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돈을 모으는 방법 [13:09]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모가 이루어질 때까지 유보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사가 성장하더라도 사회적 기여나 직원 복지에만 치중하기보다는, 자본이 다른 자본을 끌어들일 때까지 모으는 것이 현명합니다. 가족을 돕는 것도 중요하지만, 잉여 자본이 생길 때까지 기다렸다가 도와주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