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장 이재명 후보 찬조연설 - 더불어민주당

[FULL]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장 이재명 후보 찬조연설 - 더불어민주당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민주주의 퇴행과 기후 위기, 과학 기술 홀대 문제에 대한 과학자의 시각을 제시합니다. 정보 이론, 진화론적 관점에서 현 상황을 분석하며, 에너지 전환의 중요성과 R&D 예산 삭감의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이재명 후보의 정책을 지지하며, 과학과 민주주의가 함께 발전하는 미래를 강조합니다.

  • 민주주의 시스템 오작동과 퇴행적 생존 반응
  • 기후 위기에 대한 소극적 대처와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
  • R&D 예산 삭감으로 인한 과학 기술 홀대
  • 과학과 민주주의의 조화로운 발전 강조

정보 이론과 진화론적 관점에서 본 현 상황

현재 상황은 정보 이론적으로 시스템 오작동이며, 진화론적으로 퇴행적 생존 반응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복잡성과 다양성이 중요한데, 현재는 권력 유지를 위해 민주주의와 상극인 행동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적응 실패는 사회의 퇴보를 초래할 수 있으며, 버려야 할 것과 살려야 할 것을 구분하여 사회의 진화를 방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해야 합니다.

기후 위기와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

윤석열 정부는 기후 위기 대응에 소극적이었으며,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바다표범의 감소가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로 이어져 이산화탄소 제거 능력을 저하시키는 사례를 통해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강조합니다. 세계 각국은 에너지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한국은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이재명 후보의 재생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공약을 지지하며, 에너지 자립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과학 기술 홀대와 R&D 예산 삭감의 문제점

지난 3년간 대한민국 과학계는 R&D 예산 삭감으로 인해 추진력을 잃었습니다. 카이스트 졸업식에서 R&D 예산 삭감에 항의한 졸업생이 제지당하는 사건은 과학계의 현실을 보여줍니다. 과학 기술 발전은 산업 혁명을 이끌었지만, R&D 예산 삭감은 연구를 멈추게 하고 젊은 과학자들이 떠나게 만들었습니다. 이재명 후보의 R&D 예산 확대 공약을 환영하며,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한 국가의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과학과 민주주의의 조화로운 발전

과학과 민주주의는 서로 통하며, 실패할 권리, 자유로운 연구 환경,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가 독창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합니다. 과거 민주 정부 시절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한 노력을 상기시키며, 현재 대한민국은 과학 강국을 만들 리더와 정책이 필요합니다. 이번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과학이 진보하느냐 퇴보하느냐를 결정할 중요한 갈림길이며, 통합과 시대적 요구를 실현시킬 리더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