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장 건강의 중요성과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가정의학과 전문의 김경철과 건강 유튜버 최겸이 대담합니다. 장은 제2의 뇌이자 중요한 면역 기관이며, 장내 미생물 불균형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장을 유지하기 위한 식습관, 생활 습관, 의학적 치료법, 그리고 수면의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 장 건강은 전신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장내 미생물 불균형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 습관은 장 건강 개선에 필수적입니다.
인트로 [0:00]
최겸과 김경철 전문의는 장내 미생물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장내 미생물 불균형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생제나 진통제 남용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장 치료는 소화계뿐만 아니라 전신 건강에도 효과를 보일 수 있으며, 치료 전에 장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장이란 [3:03]
건강한 장은 규칙적이고 편안한 배변 활동을 의미합니다. 브리스톨 대변 척도를 기준으로 바나나처럼 끊어지지 않고 톡 떨어지는 대변이 건강한 대변입니다. 잦은 설사, 변비, 가스 과다 등의 증상은 장 건강이 좋지 않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증상을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진단했지만, 최근에는 장내 미생물 분석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하는 추세입니다.
나쁜 장내 미생물 환경 [5:54]
나쁜 장내 미생물 환경은 특정 유해균이 많거나, 유익균이 부족하거나, 장내 미생물 다양성이 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프레보텔라와 박테로이데스 비율도 중요합니다. 장내 미생물 다양성이 부족하면 면역력이 저하되고 다양한 질병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가공식품 위주의 식습관은 장내 미생물 다양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입니다. 클로스트리디움균과 같은 유해균이 많으면 뇌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폐 아동의 경우 클로스트리디움균을 제거하는 항생제 치료를 통해 증상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장 누수 [9:57]
장 누수 증후군은 장 점막이 손상되어 장내 유해 물질이 혈류를 통해 전신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입니다. 장과 뇌, 장과 피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장 누수는 다양한 전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글루타민, 락토페린, 아연 등의 물질은 장 점막을 강화하여 장 누수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밀가루의 글루텐은 장 상피세포의 기밀 결합을 느슨하게 만들어 장 누수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장 개선 방법 [11:58]
장을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4R 전략이 있습니다. 첫째, Remove (제거): 유해균을 제거합니다. 둘째, Reinoculation (재접종):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등 유익균을 보충합니다. 셋째, Repair (회복): 글루타민, 락토페린 등으로 장 점막을 회복합니다. 넷째, Rebalance (균형):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장내 미생물 다양성을 확보합니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도 장 건강에 중요합니다.
대변이식술 [15:30]
대변 이식술(FMT)은 건강한 사람의 대변에서 추출한 미생물 군집을 환자의 장에 이식하는 치료법입니다.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 감염증과 같은 항생제 내성 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며, 자폐, 치매, 파킨슨병 등 뇌 질환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먹는 FMT 캡슐도 개발되어 소아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건강한 대변을 기증하는 것은 약이 되는 시대를 여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장에 나쁜 습관 [21:50]
제왕절개, 항생제 남용, 지나치게 깔끔한 육아 방식 등은 아이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나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엄마의 건강 상태와 식습관은 아이의 장내 미생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임신 중에는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여 엄마와 아이 모두의 건강을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에 좋은 습관 [23:47]
장을 치료하기 전에 위 건강을 먼저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산 저하가 있는 경우 위산 보충제를 복용하거나, 식초와 같은 신맛이 나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음식을 꼭꼭 씹어 먹고, 식사 중 물을 마시는 습관을 피하는 것도 위산 저하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알러지 검사 [27:28]
음식 알레르기는 IgE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즉각성 알레르기와 IgG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지연성 알레르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연성 알레르기는 특정 음식을 섭취했을 때 피로, 두통, 소화 불량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개인별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을 파악하고 피하는 것이 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의학적 장 치료 [32:02]
병원에서는 장내 미생물 검사, 장 누수 검사, 염증 검사 등을 통해 장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유해균을 제거하는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노르믹스와 같은 항생제는 장내 세균 불균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설사, 복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균 치료 후에는 좋은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유익균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 치료 [36:31]
충분한 수면은 장 건강뿐만 아니라 전신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수면제를 복용하는 대신, 빛을 차단하고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침에 햇빛을 쬐고, 잠들기 전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착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불면증에 도움되는 물질 [41:33]
멜라토닌, 가바, 테아닌, 마그네슘, 비타민 B6, 트립토판 등은 불면증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양제입니다. 트레온산 마그네슘은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여 뇌 기능 개선과 수면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우울증 기질이 있는 경우 트립토판과 같은 세로토닌 전구체를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