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제주도가."👈will/be going to 쓰면 원어민이 어색하게 느끼는 이유!!

"다음달 제주도가."👈will/be going to 쓰면 원어민이 어색하게 느끼는 이유!!

요약

이 강의에서는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과 그 미묘한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Will과 Be going to의 차이점을 빠르게 살펴보고, 현재 진행형(be + -ing)과 미래 진행형(will be + -ing)을 사용하여 준비된 미래의 일정을 나타내는 방법을 배웁니다. 현재 진행형은 임박한 미래를, 미래 진행형은 더 먼 미래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Will은 말하는 순간 결정된 미래를 나타냅니다.
  • Be going to는 의도나 계획된 미래를 나타냅니다.
  • 현재 진행형(be + -ing)은 가까운 미래의 준비된 일정을 나타냅니다.
  • 미래 진행형(will be + -ing)은 현재 진행형보다 더 먼 미래의 준비된 일정을 나타냅니다.

미래 시제 소개: Will vs Be going to [0:00]

강의에서는 미래를 나타내는 다양한 옵션과 그 미묘한 차이점을 살펴봅니다. Will과 Be going to의 차이점을 빠르게 파악하고 핵심 내용으로 들어갑니다. Will은 말하는 순간 생각하고 결정을 내린 경우에 사용하고, Be going to는 무언가를 의도하고 계획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함정: "다음 달에 제주도 여행 가" [1:28]

"다음 달에 제주도 여행 가"라는 문장은 예정이 아니라 준비가 완료된 것을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숙소 예약, 비행기 표 예약, 여행지 정보 검색, 경비 계산 등 준비가 완료된 경우에는 현재 진행형(be + -ing) 또는 미래 진행형(will be + -ing)을 사용해야 합니다.

대화 예시: Be going to vs 현재 진행형 [3:18]

두 사람의 대화를 통해 Be going to와 현재 진행형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Be going to는 미래에 대한 의도나 계획을 나타내고, 현재 진행형은 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추가적으로, 누구와 나를 함께 언급할 때 '나'는 항상 뒤에 위치하며, travel은 자동사와 타동사 둘 다 사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형 vs 미래 진행형 [5:14]

현재 진행형(be + -ing)과 미래 진행형(will be + -ing)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현재 진행형은 미래의 준비 완료된 일정을 나타내는데, 그 일정이 더 임박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미래 진행형은 현재 진행형보다 더 먼 미래의 예정을 나타냅니다. 현재 진행형은 수 분, 수 시간, 수일 이내의 가까운 미래를 나타내고, 미래 진행형은 달 기준으로 넘어가는 미래를 나타냅니다.

진행형의 본질 이해 [6:31]

현재 진행형과 미래 진행형의 본질을 파악하여 그 차이를 이해합니다. 현재 진행형은 현재 발생하고 있는 동작이나 사건을 나타내며, 그 동작이나 사건은 말하는 시점보다 더 나중까지 지속되다가 끝납니다. 미래 진행형은 현재 진행형보다 더 먼 미래의 예정을 나타냅니다.

미래 시제 정리 및 마무리 [8:24]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표현들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합니다. Will은 순간적인 결정을, Be going to는 의도와 계획을, 현재 진행형과 미래 진행형은 준비가 완료된 일정을 나타냅니다. 미래를 나타내는 다른 표현들도 있지만, 이번 강의에서는 이 세 가지 표현에 집중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4/24/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