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법 17강  #관계대명사 의 존재 이유 : 수많은 영포자를 양산해 낸 관계대명사. 그러나 그 정체를 알게 되면 허무할 정도로 평범합니다.

#영문법 17강 #관계대명사 의 존재 이유 : 수많은 영포자를 양산해 낸 관계대명사. 그러나 그 정체를 알게 되면 허무할 정도로 평범합니다.

간략한 요약

본 영상은 관계대명사의 기본 개념과 한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관계대명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관계대명사가 문장을 형용사처럼 만들어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과, 중복되는 명사를 생략하는 원리를 한국어와 영어 예시를 통해 설명합니다.

  • 관계대명사는 문장을 형용사로 바꾸는 역할
  • 한국어와 영어의 명사 수식 원리 비교
  • 중복되는 명사 생략의 중요성

소개

관계대명사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이 영상은 관계대명사의 기본 개념을 명확히 하고, 앞으로 세 편의 영상을 통해 관계대명사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첫 번째 영상에서는 관계대명사의 정체를 밝히고, 두 번째 영상에서는 관계대명사가 사용된 문장의 해석과 활용 연습을, 세 번째 영상에서는 학교에서 배우는 관계대명사 관련 용어들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관계대명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

관계대명사를 이해하지 못하면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운 영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어를 잘 못하는 외국인처럼 서투른 영어를 구사하게 되므로, 세련되고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관계대명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계대명사는 영어를 더욱 풍부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관계대명사, 한국어와 비교

관계대명사라는 용어가 한국어에는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느낍니다. 하지만 한국어와 영어는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며, 한국어 예시를 통해 관계대명사의 원리를 이해하면 더 이상 어렵게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 한국어 문장과의 비교를 통해 관계대명사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예시 1: 나무

"이것은 나무다"와 "내가 작년에 이 나무를 심었다"라는 두 문장을 합쳐 하나의 세련된 문장으로 만드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두 번째 문장을 첫 번째 문장의 '나무'를 수식하는 형태로 만들기 위해, "내가 작년에 심은 나무이다"로 변형합니다. 이 과정에서 동사 '심었다'가 형용사 형태인 '심은'으로 바뀌고, 중복되는 단어 '이 나무를'이 생략됩니다.

한국어 예시 분석

앞선 예시에서 문장이 잘못된 이유를 분석합니다. 마침표 하나에 문장이 두 개 들어간 점, 그리고 문장이 형용사 역할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점을 지적합니다. '심었다'가 '심은'으로 바뀌면서 문장이 형용사로 변하고, 동사가 사라져 문법적 오류가 해결됩니다. 또한, 중복되는 명사 '이 나무를'이 생략되어 문장이 간결해집니다.

한국어 예시 2: 김치

"이것은 김치다"와 "내 여동생이 이 김치를 만들었다"라는 두 문장을 결합하여 "이것은 내 여동생이 만든 김치다"라는 문장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만들었다'가 '만든'으로 바뀌어 문장이 형용사 역할을 하게 되고, 중복되는 '이 김치를'이 생략됩니다.

영어에서 문장을 형용사로 바꾸는 방법

영어에서 문장을 형용사로 바꾸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첫째, 문장은 명사 뒤에 위치해야 합니다. 둘째, 문장이 형용사로 변했다는 표식을 붙여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관계대명사입니다. 꾸밈을 받는 명사가 사람이면 'who', 아니면 'which', 또는 'tha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셋째, 수식을 받는 명사와 중복되는 단어는 생략합니다.

영어 예시 1: 나무

"This is the tree"와 "I planted this tree last year"라는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두 번째 문장을 첫 번째 문장 뒤에 위치시키고, 관계대명사 'which'를 추가하여 "This is the tree which I planted last year"로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중복되는 'this tree'를 생략합니다.

영어 예시 2: 김치

"This is 김치"와 "My sister made it 김치"라는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두 번째 문장을 첫 번째 문장 뒤에 위치시키고, 관계대명사 'which'를 추가하여 "This is the 김치 which my sister made"로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중복되는 '김치'를 생략합니다.

관계대명사 중간 정리

관계대명사는 문장 앞에 위치하여 그 문장을 형용사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를 만나면 앞에 있는 명사를 꾸미도록 해석해야 합니다. 또한, 관계대명사 이하의 절에서는 본동사를 찾지 않고, 전체 문장의 본동사를 찾아야 합니다.

영어 예시 3: 소년

"The boy was kind"와 "I met the boy yesterday"라는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두 번째 문장을 첫 번째 문장 뒤에 위치시키고, 관계대명사 'who'를 추가하여 "The boy who I met yesterday was kind"로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중복되는 'the boy'를 생략합니다.

마무리

관계대명사는 문장을 형용사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독해 시 명사 뒤에 관계대명사가 나오면 앞의 명사를 꾸미도록 해석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 이하의 절은 형용사 덩어리로 취급하며, 이 안에서 본동사를 찾지 않습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관계대명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즉시 만들어내는 연습을 할 예정입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