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강의는 기초 영어 수업으로, 주어와 동사, 특히 비동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비동사의 다양한 의미와 시제, 부정문, there is/are 구문, 비인칭 주어, 수여 동사, 명사의 이해, 그리고 재귀 대명사까지 폭넓게 다룹니다.
- 비동사의 다양한 활용법과 시제 변화를 익힙니다.
- 다양한 예시와 연습을 통해 문법 사항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 불규칙 동사 변화를 암기하여 영어 실력 향상을 도모합니다.
비동사의 뜻
비동사는 주로 "이다" 또는 "에 있다"로 해석되며,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형태가 변합니다. 현재 시제에서 1인칭 단수는 "I am", 복수는 "We are", 2인칭은 "You are", 3인칭 단수는 "He/She/It is", 복수는 "They are"로 활용됩니다. 비동사가 "~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뒤에 명사나 형용사가 와야 문장이 완성됩니다. 예를 들어, "She is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이다) 또는 "She is pretty" (그녀는 예쁘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비동사의 위치
비동사가 "~에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위치를 나타내는 부사나 전치사+명사와 함께 쓰입니다. "I am here" (나는 여기에 있다)처럼 부사와 함께 쓰이거나, "He is in the kitchen" (그는 부엌에 있다)처럼 전치사+명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전치사는 위치뿐만 아니라 상황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She is at the table"은 "그녀는 테이블에 앉아 있다" 또는 "그녀는 식사 중이다"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비동사의 시제
비동사의 과거형은 "was"와 "were" 두 가지가 있습니다. 주어가 1인칭 또는 3인칭 단수일 때는 "was"를 사용하고, 복수일 때는 인칭에 상관없이 "were"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I was busy" (나는 바빴다) 또는 "They were friendly" (그들은 친절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비동사의 과거형은 현재형처럼 축약해서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동사의 부정
비동사의 부정문은 비동사 뒤에 "not"을 붙여서 만듭니다. "I am not a kid anymore" (나는 더 이상 아이가 아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부정문을 축약할 때는 주어와 동사를 함께 줄이거나, 동사와 "not"을 함께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 is not at home"은 "He's not at home" 또는 "He isn't at home"으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There is/are
"There is/are" 구문은 "~이/가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뒤에 오는 명사의 수에 따라 "is" 또는 "are"를 선택합니다. 단수 명사일 때는 "There is", 복수 명사일 때는 "There are"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There is a cup on the table" (테이블 위에 컵이 하나 있다) 또는 "There are many books on the shelf" (책꽂이 위에 책이 많이 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There is/are" 뒤에는 불특정한 명사가 와야 하며, 특정한 명사나 고유 명사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비인칭 주어 It
날씨, 시간, 계절, 거리 등을 나타낼 때는 비인칭 주어 "It"을 사용합니다. "It"은 특별한 의미 없이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It is sunny" (날씨가 화창하다), "It is 8 o'clock" (8시이다), "It is far from here" (여기서 멀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수여 동사
수여 동사는 누구에게 무엇을 주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로, 목적어를 두 개 가질 수 있습니다. "주어 + 동사 + 간접 목적어 + 직접 목적어" 순으로 사용되며, 간접 목적어는 "에게", 직접 목적어는 "을/를"로 해석됩니다. 예를 들어, "He gave me flowers" (그는 나에게 꽃을 주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목적어가 한 개일 때는 "주어 + 동사 + 목적어 + 전치사 + 명사" 형태로 사용하며, 수여 동사에 따라 함께 쓰이는 전치사가 다릅니다. "give, send, teach" 등은 "to"와 함께 쓰이고, "buy, make, cook" 등은 "for"와 함께 쓰입니다.
명사 이해
명사는 셀 수 있는 가산 명사와 셀 수 없는 불가산 명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산 명사는 두 개 이상일 때 복수로 표기하고, 불가산 명사는 항상 단수로 표기합니다. 액체, 가루, 기타 물질 등이 대표적인 불가산 명사입니다. 가산 명사가 많을 때는 "many"를 사용하고, 불가산 명사가 많을 때는 "much"를 사용합니다. "a lot of"는 가산, 불가산 명사 모두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는 주어와 목적어가 같을 때 목적어를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myself, yourself, himself"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 looked at himself in the mirror" (그는 거울 속의 자신을 보았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재귀 대명사는 주어 자신을 강조하는 부사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알아두면 좋아요
불규칙 동사는 시제나 쓰임에 따라 형태가 불규칙하게 변하는 동사로, 암기가 필요합니다. 자주 쓰이는 불규칙 동사의 기본형, 과거형, 과거 분사형을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