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분석) 들고가는게 실력이다

(시황분석) 들고가는게 실력이다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현재 시장 상황에 대한 분석과 투자 전략을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강세장이 정점에 도달하기 전 대규모 랠리가 예상되며, 아직 버블 징후는 보이지 않음.

  • 오픈 AI의 투자가 시장을 움직이는 주요 동력이며, AMD와 같은 관련 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금 가격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정부 부채 증가와 정치적 불확실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

  • 엔 캐리 트레이드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 시장의 강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 강세장 랠리

  • 오픈 AI 투자

  • 금 가격 상승

  • 엔 캐리 트레이드

서론 [0:13]

해치펀드 출신 폴튜는 강세장이 폭발하기 전 대규모 랠리가 시작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현재 시장 상황이 1999년 후반과 유사하다고 분석합니다. 그는 아직 상승 여력이 많이 남아 있으며, 막판 불꽃이 가장 아름다울 것이라고 언급합니다.

강세장과 시장 정점 [1:45]

존슨은 과거 강세장 사례를 바탕으로 시장 급등락이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이번 시장 정점이 1999년보다 더 폭발적일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현재 금리 인하와 정부 예산 적자 상황이 90년대 후반과는 다르기 때문에, 경제 전반에 걸쳐 유동성 랠리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버블 시나리오와 투자 전략 [2:43]

투자자들은 레버리지 노출, 정부 부채, 레버리지 상장 지수 펀드 등에 관심을 확대하고 있지만, 아직 주식 강세장이 끝나지 않았다고 판단합니다. 완전한 투기 모드에 도달하려면 더 많은 개인 및 기관 투자자 참여가 필요하며, 해치펀드 베테랑은 금 투자를 권장합니다. 에벌코 ISI는 버블 시나리오에서 2026년까지 나스닥이 9천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하며, 자본 시장 가속화가 주가 상승의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버블 판단 기준과 현재 시장 [4:35]

주가 버블 판단 기준으로 마진 부채, 하일드 스프레드, IPO 물량 등을 제시하며, 현재는 버블을 나타내는 징후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2025년 IPO 규모는 평균 가치에 미치지 못하며, 1999년이나 2021년 수준에 훨씬 못 미친다고 분석합니다.

오픈 AI와 AMD 투자 [5:44]

오픈 AI의 AMD 투자가 시장을 움직이는 주요 요인이며,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AMD 목표가를 200달러에서 250달러로 인상합니다. 오픈 AI가 투자하는 기업마다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오픈 AI가 시장의 중심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오픈 AI가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면 버블이 될 수 있지만, 이익을 창출한다면 버블이 아닐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AI 시장 전망과 데이터 센터 투자 [7:27]

AI 수요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55GW의 새로운 컴퓨팅 용량을 필요로 하며, 2조 8천억 달러의 지출을 유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만 하더라도 30GW를 추가하면서 1조 4천억 달러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AI 시장 성장을 위해서는 데이터 센터와 컴퓨터 능력이 필수적이며, 하이퍼 스케일러들이 데이터 센터 투자를 확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 등은 2027년까지 1조 2천억 달러 이상의 지출을 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2027년 시장 전망과 트럼프의 영향 [9:33]

2027년까지 시장 상황을 지켜봐야 하며, 2024년에 주가가 완전히 붕괴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합니다. 중간 선거를 앞두고 트럼프가 시장 붕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2024년에도 시장은 크게 붕괴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엔비디아 주가 전망 [10:32]

한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 주가가 45% 더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하며, 목표가를 275달러로 제시합니다. 엔비디아 제품에 대한 수요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픈 AI와 AMD의 파트너십도 엔비디아 주가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엔비디아 투자와 AI 시장 점유율 [11:46]

엔비디아가 오픈 AI에 투자하고 코유로부터 컴퓨터 용량을 매입한 것이 시장 점유율 확보에 도움이 되었다고 분석합니다. 엔비디아는 2030년까지 전체 AI 인프라 시장의 40% 이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2028년까지 데이터 센터 매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엔비디아 데이터 센터 매출 전망 [13:12]

엔비디아 데이터 센터 매출 전망치가 2028년까지 연평균 44% 상향 조정되었으며, 월가 컨센서스 조정치보다 7% 이상 높습니다. 2027년 데이터 센터 성장률도 상향 조정되고 있으며, 10년 말까지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에 H20과 블랙웰 기반 칩을 판매할 경우 추가 수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이저 주가 전망 [14:24]

파이저가 연말까지 상승할 수 있는 기업으로 제시되며, 헬스케어 제약주들이 반전을 시작했다는 분석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국내 생산 투자 약속과 메디케이드 환자 약가 인하 합의 조건으로 3년간 관세 면제를 받기로 한 것이 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EPS 성장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밸류에이션은 저평가되어 있으며, 목표가는 33달러로 제시됩니다.

유틸리티 주식과 넥스트라 에너지 [16:30]

유틸리티 주식이 AI 혜택을 많이 받고 있으며, 넥스트라 에너지가 급등할 가능성이 있는 종목으로 제시됩니다. 유틸리티는 S&P 500에서 세 번째로 좋은 성과를 보이는 업종 중 하나이며, AI 거래에서 간접적인 수혜를 얻고 있습니다. 넥스트라 에너지의 PE 레시오는 S&P 500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으며, AI에 필요한 전력 수요 증가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목표가는 80~90달러로 제시됩니다.

러셀 지수와 소형주 투자 [19:16]

러셀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2,500선을 돌파했으며, 소형주 강세가 예상됩니다. 소형주가 싸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많으며, 연준의 금리 인하 예상도 호재로 작용합니다. 추천 종목으로 알리, BJ, 도쿄 사인, 펜스케, 익스 등이 제시되며, 밸류에이션 분석을 통해 목표가를 설정하고 차트 분석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금 가격 상승세와 투자 전략 [22:45]

금 가격이 4,000달러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세계적인 불확실성이 상승세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고착화된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긴장, 달러 약세, 중앙은행 수요, 투자자들의 변동성 해지 전략 등이 금 가격 상승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정부 부채 증가도 금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으며, 금은 돈의 양심으로서 위상을 재확인하고 있습니다. 4,000달러를 넘어선 후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하며, 금에 대한 포지션을 확대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분석합니다.

일본 은행 정책 변화와 엔 캐리 트레이드 [26:33]

다가이츠가 일본 은행에 대한 통화 정책 완화를 보류하도록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추가 지출과 세금 감면을 통해 재정 자극책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과 일본의 금리차는 2.5% 정도이며, 3% 정도로 줄어들면 엔 캐리 트레이드 위험이 있지만, 미국 시장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당장 물량을 정리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합니다.

10월 시장 전망과 투자 조언 [30:29]

10월 월봉 차트는 좋은 모양을 보이고 있으며, 실적 발표에 따라 시장이 다시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우량주는 계속 들고 가고, 소형주 중 괴리감이 큰 종목은 일부 익절하면서 현금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아직 포모가 쌓이면서 끝나는 장은 아니며, 더욱더 많이 갈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10/7/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