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이슈인-사회) 5.18 가짜뉴스 확산실태와 대응방안

[뉴스투데이](이슈인-사회) 5.18 가짜뉴스 확산실태와 대응방안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5.18 민주화운동 관련 가짜 뉴스의 실태와 대응 방안에 대해 박용수 전남대 5.18 연구소 전임 연구원과 인터뷰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가짜 뉴스의 유형, 발생 원인, 확산 경로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차단 및 대응 전략을 모색합니다.

  • 5.18 가짜 뉴스는 주로 유튜브와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며, 북한군 개입설 등 허위 사실을 유포합니다.
  • 가짜 뉴스의 근원지는 전두환 신군부이며,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왜곡하고 폄훼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가짜 뉴스 차단을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 팩트 체크, 사법적 대응, 플랫폼의 자정 노력 유도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인트로

매일같이 쏟아지는 가짜 뉴스가 온라인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5.18 관련 가짜 뉴스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전남대학교 5.18 연구소는 최근 5.18 가짜 뉴스의 확산 실태와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집담회를 개최했습니다.

5.18 가짜 뉴스의 유형과 확산

5.18 관련 가짜 뉴스는 외부에서 의도적으로 조작된 허위 정보이며, 대표적인 예로 "5.18은 북한군 600명이 침투해 일으킨 폭동"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는 5.18의 주체 자체를 왜곡하는 것이며, 광주를 빨갱이 도시로 낙인찍으려는 시도입니다. 또한, 계엄군의 집단 발포가 시민군의 선제 공격 때문이었다는 주장이나, 5.18 유공자 자녀들이 공직을 싹쓸이하고 있다는 무차별적인 비난도 가짜 뉴스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가짜 뉴스는 유튜브를 중심으로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고 있습니다.

5.18 가짜 뉴스의 기원과 배경

5.18 가짜 뉴스의 진원지는 전두환 신군부입니다. 80년 당시 신군부는 "간첩, 불순분자들이 광주에서 난동을 일으켰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전두환 또한 22명의 북한 무장군이 침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후 5.18이 역사적으로, 법적으로 민주화운동으로 규정되면서, 5.18에 대한 외부의 허위 정보들이 난무하게 되었습니다.

가짜 뉴스 대응을 위한 노력과 과제

5.18 관련 가짜 뉴스에 대해 법률적, 학문적으로 대응해 왔지만, 소셜 미디어 시대가 되면서 유튜브를 중심으로 가짜 뉴스가 범람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실태를 파악하고 심각성을 인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5.18 가짜 뉴스를 차단하고 처벌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감시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하며, 팩트 체크를 통해 사실 여부를 검증하고, 사법적 대응을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또한, 포털 사이트에 유해 정보 차단 장치를 만들도록 사회적 압력을 가하여 근본적인 차단 노력이 필요합니다.

표현의 자유와 가짜 뉴스 규제 사이의 균형

가짜 뉴스를 차단할 때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명백하게 허위 사실로 밝혀진 경우에는 언론의 자유나 표현의 자유로 보호할 수 없습니다. 정부는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관련 입법을 통해 가짜 뉴스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유튜브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가짜 뉴스의 뿌리를 뽑는 것이 중요하며, 유튜브에 자체적인 여과 장치를 만들어 가짜 뉴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사회적 압력을 가해야 합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