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여성의 뇌 구조와 기능이 남성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이러한 차이가 여성의 사고방식, 감정,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합니다. 여성의 뛰어난 기억력, 멀티태스킹 능력, 직감, 공감 능력의 원인을 뇌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강점들이 때로는 불안, 걱정, 감정적 소진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마지막으로,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다스리는 ANT 기법과 간단한 최면 방법을 소개합니다.
- 여성의 뇌는 남성에 비해 해마가 크고, 좌우 뇌 연결이 활발하며, 공감 능력을 담당하는 부위에 회백질이 더 많습니다.
- 이러한 뇌 구조적 차이는 여성의 뛰어난 기억력, 멀티태스킹 능력, 직감, 공감 능력의 원인이 됩니다.
- 여성은 남성보다 세로토닌 생산량이 적고,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아 불안에 취약하며, 걱정이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 과도한 공감 능력은 감정적 소진, 의존성, 지나친 책임감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ANT 기법과 최면은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다스리고 심리적 안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여자가 길을 묻는 이유
여성의 뇌는 남성의 뇌와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하버드 대학의 골든 스타인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는 여성이 남성보다 크고, 공포와 분노를 처리하는 편도체는 남성이 더 큽니다. 이 때문에 여성은 남성보다 기억력이 좋지만, 공간 인식 능력을 담당하는 두정엽이 작아 길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성은 방향을 찾을 때 언어와 협동심을 이용하는 반면, 남성은 두정엽을 이용해 직접 길을 찾는 것을 선호합니다. 따라서 언어 기억은 여성이, 공간 기억은 남성이 더 뛰어납니다.
여자가 멀티태스킹을 잘하는 이유
여성은 남성보다 멀티태스킹 능력이 뛰어납니다. 캘리포니아 대학 하이어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뇌를 편향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여성은 뇌 여러 부위를 연결해 통합적으로 사용합니다. 남성은 지능과 관련된 뇌 부위에 회백질이 많고, 여성은 뇌 영역들을 연결하는 백질이 많습니다. 즉, 남성은 문제 해결 시 핵심 영역만 사용하는 반면, 여성은 여러 영역을 동시에 가동합니다.
여자가 촉이 좋은 이유
여성의 직감은 우뇌와 관련이 깊습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뇌 우반구를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처음 만난 사람의 말투, 외모, 목소리, 태도, 눈빛 등 모든 정보를 순식간에 처리하여 직감이라는 결과값을 도출합니다. 이는 여성의 뇌 좌우 연결이 활발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여성은 좌우뇌를 연결하는 뇌량의 크기가 남성보다 크며, 친구나 동료의 우울한 낌새, 아이의 주눅든 모습, 회의의 긴장감 등을 재빠르게 눈치챕니다. 뇌 영상 연구는 여성의 뇌에 직감을 담당하는 부위가 더 많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촉'의 어두운 면
직감은 재능이지만 그림자도 있습니다. 직관적인 사람들은 가끔 사실이 아닌 것을 옳다고 믿기도 합니다. 다른 방법으로 확인해 보지도 않고 처음에 느낀 촉을 맹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폭력적인 남성과 결혼한 여성들이 다시는 폭력적인 일이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믿는 것을 직관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비합리적인 촉이 떠오를 때마다 스스로에게 "내 촉의 증거가 어떻게 되지?"라고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멀티태스킹'의 어두운 면
여성의 뇌는 분주하게 돌아가 남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할지, 무슨 일이 일어날지 걱정합니다. 연구 결과, 전측 대상 피질이 여성에게서 더 활발하게 돌아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곳의 활동이 지나치면 부정적인 생각이나 행동에 매달리고 좋은 일보다 나쁜 일이 눈에 더 들어옵니다. 맥길 대학의 미르코 덱시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세로토닌 생산량이 남성보다 52% 적습니다. 세로토닌은 진정 효과가 있어 수치가 낮으면 걱정과 기분을 조절하는 뇌 중추가 과하게 활동하여 우울증에 취약해집니다.
호르몬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뇌를 진정시켜 주는 가바를 억제하여 여성이 불안에 시달릴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반대로 테스토스테론은 가바를 활성화하여 남성이 불안에 덜 시달리는 이유입니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으면 불안이 줄어들고 위험 부담이 높은 행동에 적극적이 됩니다. 근력 운동을 통해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높이고 단 음식을 덜 먹는 것이 불안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남녀의 걱정 차이
남성과 여성은 걱정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여성은 걱정거리가 생기면 뇌의 촘촘한 연결망이 가동되어 걱정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습니다. 반면 남성의 걱정은 한정적이며, 문제를 다른 걱정으로 확대시키지 않습니다. 세로토닌 수치가 낮은 것이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세로토닌이 지나치게 많으면 동기 부여가 잘 안 되고 무사태평한 태도가 굳어질 수 있습니다.
여자가 걱정이 많은 이유
여성의 더 많은 걱정은 출산과 육아와 관련이 깊습니다. 걱정은 최악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게 해줘서 사랑하는 자식과 배우자를 지켜주고 가정을 안전하게 해줍니다. 또한, 여성의 걱정은 남성들이 잘 하지 않으려는 도움 요청을 쉽게 하게 해줍니다. 남성은 낙관적이어서 문제점을 못 볼 때가 많고, 조언을 구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공감'의 빛과 그림자
남성과 여성 모두 다른 사람의 감정에 이입할 때 거울 뉴런이 활성화됩니다. 여성은 남성보다 거울 뉴런 시스템이 있는 뇌 부위에 회백질이 더 많습니다. 캠브리지대 사이먼 베런 코엔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차이는 선천적입니다. 남성의 뇌는 시스템과 규칙을 파악하고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내는 쪽으로 발달해 있고, 여성은 주위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여성의 뛰어난 공감력은 집단 내에서 합의를 끌어낼 때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타인의 부정적인 감정에 쉽게 휩쓸릴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여성뇌의 부작용과 해결책: ANT기법
여성 환자들이 겪는 어려움은 남자 친구가 제때 연락하지 않으면 바람을 피우는지 걱정하고, 과식하고 나서 자신을 혐오하며, 혼자 계시는 어머니를 걱정하고, 남편이 생일과 기념일을 잊으면 슬퍼하는 것 등입니다. 이러한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저절로 일어나는 부정적인 생각들을 '개미떼'에 비유합니다. ANT(Automatic Negative Thoughts) 기법은 이러한 개미떼를 몰아내는 방법입니다. 종이에 가로로 두 줄을 긋고 세 칸으로 나눈 후, 첫째 칸에는 개미떼 이름을, 둘째 칸에는 개미의 종류(일반화 개미, 부정적 개미, 운명적 개미, 맹신 개미, 독심술 개미, 죄책감 개미, 꼬리표 개미, 개인화 개미, 남탓 개미)를 적습니다. 셋째 칸에는 개미떼가 만들어내는 부정적 생각을 현실적으로 바로잡아 줍니다.
간단한 최면 방법
마음이 복잡하고 답답할 때 간단한 최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선을 한 지점에 고정시키고 숫자를 천천히 20까지 세면서 눈에 힘을 줍니다. 20이 되면 눈을 감고 심호흡을 아주 천천히 네 번 합니다. 숨을 마시고 내뱉을 때마다 배와 가슴이 위로 올라왔다가 내려가는 것을 느껴봅니다. 심호흡을 다 했다면 10에서부터 1까지 숫자를 세면서 자신이 계단을 내려가고 있다고 상상합니다. 계단을 다 내려가고 나면 모든 감각을 사용해서 편안함을 느끼는 호수, 해변, 산 같은 아름다운 곳에 와 있다고 상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