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김준성 님이 미국 주식의 사상 최고치 경신과 국내 주식 시장의 주춤거림에 대한 분석을 제공합니다. 미국 주식은 트럼프 감세 정책, 강력한 고용 데이터 등으로 상승세를 탔지만, 국내 주식은 상법 개정 효과 역풍 우려, 부동산 정책과의 충돌,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향후 미국 주식은 실적 시즌에 따라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바이 코리아 현상은 주춤할 수 있으며, 미국과의 금리 및 환율 협상이 중요 변수가 될 것입니다. 멤버십 콘텐츠 시작 안내와 아이폰에서의 가입 문제에 대한 설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미국 주식, 사상 최고치 경신 및 긍정적 전망 유지
- 국내 주식, 상법 개정 효과 역풍 우려 및 하락세
- 바이 코리아 현상 주춤 가능성
- 멤버십 콘텐츠 시작 및 아이폰 가입 문제 안내
미국 주식, 사상 최고치 경신
미국 주식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이는 트럼프 감세 정책 패키지 통과와 강력한 고용 데이터 발표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므누신 재무장관은 10년 만기 이자율이 너무 높고 달러 약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미국의 환율 정책은 약달러 정책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달러 강세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는 금리 인상과 경기 호전 전망에 따른 것입니다. 현재 미국은 채권 약세, 달러 강세, 주식 강세의 골드락스 시나리오를 따르고 있으며, 이는 바이 아메리카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미국 주식 전망 및 투자 전략
향후 미국 주식은 실적 시즌에 따라 변동성이 있을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과거 트럼프 당선 이후 주식 시장의 움직임을 고려할 때, 하락 시 매수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SP500 지수는 고용 데이터 발표 이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RSI 지표는 과매수 상태를 나타내지만, 단기적인 조정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이 코리아 현상 분석 및 전망
바이 코리아는 주식 강세, 원화 강세, 채권 강세를 의미하지만, 최근 코스피는 연중 최고치에서 하락했습니다. 이는 상법 개정 효과 역풍 우려, 부동산 정책과의 충돌,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특히, 미국의 관세 협상 결과가 국내 주식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원화 강세는 미국의 압력에 의한 것일 수 있지만, 향후 채권 강세는 경기 우려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 vs 한국 주식 시장 격차 전망
전반적으로 미국 주식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바이 코리아 분위기가 꺾이면서 미국과 한국의 주식 시장 격차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번 주에는 국내 주식과 미국 주식의 격차가 얼마나 줄어들지가 중요한 관전 포인트입니다.
멤버십 콘텐츠 시작 안내 및 가입 방법
7월 4일부터 멤버십 콘텐츠를 시작하며, 매주 월, 수, 금요일 오전 8시에 실전 트레이딩 중심의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멤버십 가입 시 오픈 채팅방에 초대됩니다. 아이폰에서 가입 버튼이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PC 버전을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공식 사이트에서는 iOS 외기에서는 가입이 안 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