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앱 인벤터를 사용하여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계산기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산기 알고리즘 설계: 버튼 입력을 처리하고, 숫자와 연산자를 구별하며, 플래그 변수를 사용하여 입력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 앱 인벤터 UI 디자인: 화면 방향 설정, 레이블 및 버튼 배치, 버튼 모양 및 색상 사용자 정의.
- 블록 코딩: 변수 초기화, 함수 생성 (사칙연산, 화면 출력, 초기화), 버튼 클릭 이벤트 처리.
- 심화 문제: 나머지 연산 기능 추가, 메모리 기능 (M+, M-, MC, MR) 구현.
소개
앱 인벤터를 사용하여 실용적인 계산기를 만드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2시간 안에 모든 기능을 완성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화면 구성과 기본적인 사칙연산 기능을 구현하는 데 집중하고, 나머지 부분은 시청자들이 직접 만들어 보도록 안내합니다.
계산기 디자인 및 알고리즘 구상
계산기 앱의 디자인을 구상하고, 버튼 입력을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합니다. 기존 계산기 앱의 기능을 분석하고, 버튼을 눌렀을 때 숫자가 입력되는 방식과 연산자 처리 방법을 설명합니다. 플래그 변수를 사용하여 처음 입력인지, 기존 입력에 추가하는 것인지 판단하는 로직을 제시합니다.
계산기 UI 디자인
앱 인벤터에서 계산기 UI를 디자인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화면 방향을 가로로 설정하고, 레이블과 버튼을 배치합니다. 수평 배치를 사용하여 버튼 간 간격을 조절하고, 버튼의 너비를 부모 요소에 맞추도록 설정합니다. 버튼의 텍스트, 글꼴, 색상 등을 사용자 정의하여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만듭니다.
계산기 블록 코딩 (함수 및 변수)
계산기 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 코딩 과정을 설명합니다. 변수를 초기화하고, 함수를 생성하여 사칙연산, 화면 출력, 초기화 등의 기능을 구현합니다. 함수는 x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외부에서 버튼 값을 전달받아 처리합니다.
계산기 블록 코딩 (버튼 클릭 이벤트)
계산기 버튼 클릭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숫자 버튼, 사칙연산 버튼, AC 버튼, 이퀄 버튼 등을 클릭했을 때 호출되는 함수를 정의하고, 각 버튼에 맞는 기능을 구현합니다. AI 컴패니언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앱을 테스트합니다.
심화 문제 (나머지 연산 및 메모리)
심화 문제로 나머지 연산 기능과 메모리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나머지 연산자(%)를 추가하고, M+, M-, MC, MR 버튼을 사용하여 메모리 기능을 구현합니다. 메모리 기능을 통해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고, 최종 잔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핵심 정리
이번 강의의 핵심 내용을 요약합니다. 앱 인벤터에서 가로 방향 앱 제작, 레이아웃 컴포넌트 활용, 코드 모듈화, 함수 사용 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