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이 금을 미친듯이 사는 이유" 달러 시스템 붕괴 시작됐다. 현금 빼서 금과 ‘이것’ 사두세요. 지금 안 사면 진짜 10년 날립니다 (강환국 작가 / 3부)

"중앙은행이 금을 미친듯이 사는 이유" 달러 시스템 붕괴 시작됐다. 현금 빼서 금과 ‘이것’ 사두세요. 지금 안 사면 진짜 10년 날립니다 (강환국 작가 / 3부)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금값 폭등의 원인과 현재 상황, 미국 국채 매입 시 연준의 역할, 금 투자 전망, 미국과 중국의 투자 전략 비교, 은 투자 전망, 원자재 투자 분석, 그리고 시청자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다룹니다.

  • 금값 상승은 달러 신뢰도 하락과 재정 적자 심화에 기인
  • 중앙은행의 금 매입은 미래 경제 위기에 대한 대비
  • 금 슈퍼사이클은 10년 주기로 발생하며, 현재 중간 단계에 위치
  • 은은 금보다 공급 늘리기가 용이하여 변동성이 큼
  • 현물 ETF가 존재하는 금과 은 투자가 유망하며, 선물 투자는 신중해야 함

하이라이트

김 슈퍼사이클은 과거 두 번 발생했으며, 한 번 패러다임이 형성되면 약 10년 정도 지속됩니다. 현재는 중간 단계에 있으며, 금 수요 증가에 비해 공급이 빠르게 따라가지 못해 금값이 상승합니다. 금값은 공급이 늘어나는 시점부터 약 10년 후에 폭락하며, 2020년대 말에 공급 증가가 예상됩니다.

금값이 폭등한 이유와 현재 상황

금값 폭등은 미국 달러에 대한 신뢰 하락과 미국의 심각한 재정 적자 때문입니다. 현재 미국은 GDP 대비 6%의 재정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 불가능한 수준입니다. 레이 달리오 역시 재정 적자 감축을 제안했지만, 트럼프는 감세 정책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결국 미국은 국채를 찍어내고 연준이 돈을 찍어 사주는 머니타이제이션으로 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달러 신뢰 하락에 대한 대안으로 금과 비트코인이 주목받고 있으며, 중앙은행들이 금을 가장 많이 사들이고 있습니다.

미국 국채를 연준이 살 때의 차이점

미국 국채를 다른 나라나 기관이 사주는 것은 시스템 내에서 돈이 돌고 도는 것이지만, 연준이 돈을 찍어 사주는 것은 새로운 돈이 시스템에 유입되는 것이므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합니다. 재화와 서비스는 늘어나지 않았는데 돈의 양만 늘어나는 것과 같습니다. 미국은 이미 이 단계에 진입했으며, 다른 나라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자산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 지표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자산가들이 안전 자산인 금으로 몰리는 이유입니다.

지금 금에 투자해도 수익률이 괜찮을까?

과거 금 슈퍼사이클은 약 10년 주기로 발생했으며, 현재는 중간 단계에 있습니다. 금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은 빠르게 따라갈 수 없기 때문에 금값 상승 여력이 남아 있습니다. 금 공급 데이터는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공급이 늘어나는 시점에 팔면 됩니다.

미국의 ‘가상화폐’ 투자 vs 중국의 ‘금’ 투자

미국은 비트코인과 스테이블 코인을, 중국은 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국은 금을 가장 많이 사재기하는 국가 중 하나이며, 2011년부터 미국 채권 보유량을 줄이고 있습니다. 이는 미중 갈등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중국은 탈중앙화된 비트코인을 싫어하지만, 새로운 세계 질서가 금과 비트코인 본위제로 돌아간다면 어쩔 수 없이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은 투자 및 가격 전망

은은 금과 유사하게 원자재 슈퍼사이클이 오면 상승하지만, 금보다 변동성이 큽니다. 금은 비트코인, 은은 알트코인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은은 금보다 공급을 늘리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금 대비 가치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자재 투자 전망 및 분석

우라늄과 같은 금, 은을 제외한 다른 원자재 투자는 현물 ETF가 없다는 결정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선물 ETF는 현물보다 수익률이 현저히 떨어지며, 롤오버 비용 때문에 전체 수익률을 제대로 얻을 수 없습니다. 금과 은은 무게 대비 가격이 비싸 현물 ETF를 만들 수 있지만, 다른 원자재는 창고 보관 문제로 인해 선물로 거래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금과 은만 현물 투자가 가능하며, 선물 투자는 신중해야 합니다.

웅달책방 시청자 분들께 한 말씀

2025년에는 모든 자산 시장이 좋아 보이며, 한국 주식도 긍정적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주식은 4월에 바닥을 찍고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패턴은 1년 정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원자재 슈퍼사이클도 진행 중이므로 모든 자산이 좋아 보이지만, 2027년, 2028년에 경제 위기가 올 수 있으므로 그때까지 열심히 벌고 빠져나와야 합니다. 마켓 타이밍을 무시하지 말고, 팔 시점을 고민해야 합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