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스마트 머니 컨셉(이너서클 트레이더, ICT)을 활용하여 트레이딩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ICT 이론은 세력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그들과 함께 거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ICT 이론의 핵심 개념: 추세 전환, 유동성, 오더 블록, 페어 밸류 갭(FVG) 등을 설명합니다.
- 실제 차트 분석을 통해 진입 시점과 손절매/익절매 포인트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 세력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트레이딩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인트로
승리는 원한을 가져오고 패배는 자존감을 낮춘다는 석가모니의 말을 인용하며, 트레이딩에서 감정적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스마트 머니 컨셉(이너서클 트레이더, ICT)을 통해 기계처럼 전략을 세우는 방법을 소개하며, ICT 이론에 대한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ICT 트레이딩 소개
마이크 제이어드 스턴이 개발한 ICT 트레이딩 기법은 세력이 남긴 흔적을 따라 세력과 함께 거래하는 전략입니다. 트레이딩에 정답은 없지만, ICT 이론을 통해 많은 트레이더들이 성공을 거두었으며, 필자 또한 이 이론으로 이득을 보았습니다. 핵심 개념으로는 추세 전환(처치), 유동성(리퀴디티), 오더 블록, 비효율성으로 인한 갭(페어 밸류 갭, FVG) 등이 있습니다. PDH/PDL, 시장 구조 변화(MSS), 브레이커 블록(BB), BSL/SSL 등 더 많은 개념이 있지만, 이번 영상에서는 ICT 이론을 활용한 진입 시점 및 익절 포인트 전략에 집중합니다.
실제 차트 분석: 비트코인 예시
비트코인 1시간 봉 차트를 예시로 들어 ICT 이론을 적용한 트레이딩 전략을 설명합니다. 먼저 저항대를 설정하고, 가격 움직임을 분석합니다. 숏 포지션을 가진 사람들의 스탑 주문이 몰린 곳을 파악하고, 해당 지점이 뚫리는 것을 확인합니다. 꼬리가 남는 현상을 "유동성 스윕(Liquidity Sweep)"이라고 하며, 종가가 몸통으로 뚫는 현상을 "처치(Change of Character)"라고 합니다.
오더 블록과 페어 밸류 갭(FVG)
차트가 휩쓸고, 되돌리고, 반전되는 과정에서 특정 캔들이 생성되는 지점을 "오더 블록(Order Block)"이라고 합니다. 오더 블록은 하락 추세에서 음봉 캔들 직전의 양봉 캔들을 의미합니다. 캔들 사이에 비어 있는 공간은 "페어 밸류 갭(Fair Value Gap, FVG)"이라고 하며, 비효율성으로 인해 발생한 갭을 의미합니다. 캔들의 꼬리가 연결되지 않고 갭이 있는 곳은 FVG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진입 시점 및 손절매/익절매 포인트 설정
공격적인 트레이더는 저항대에 리밋 주문을 걸어둘 수 있지만, 추세 이탈을 확인한 후 오더 블록에 진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손절매(Stop Loss)는 오더 블록 주변 캔들의 윗꼬리에 설정하고, 익절매(Take Profit)는 유동성이 휩쓸리는 지점에 설정합니다. 세력은 차트를 움직일 때마다 개인 투자자들의 물량을 사야 하므로, 세력과 함께 가는 전략을 취해야 합니다. 추세가 바뀌었다고 판단되면, 하단 포지션을 가진 사람들의 스탑로스 지점을 익절매 지점으로 설정합니다.
결론
세력이 개인 투자자들의 물량을 모두 받아먹으면 차트는 상승하게 됩니다. ICT 이론을 활용하여 차트 움직임을 해석하고, 매매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앞으로 더 이해하기 쉬운 분석 영상을 제작하고, 쇼츠를 통해 ICT 트레이딩 이론을 이용한 매매 영상을 공유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