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ICT(Inner Circle Trader) 이론을 활용하여 트레이딩 전략을 개선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특히 OB(Order Block)와 FG(Fair Value Gap)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활용한 진입 절차를 안내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OB(Order Block): 가격 지지 또는 저항 역할을 하는 특정 캔들 패턴
- FG(Fair Value Gap): 비효율적인 거래로 인해 발생하는 빈 공간으로, 기관의 물량이 남아있는 곳
- 유동성 활용: 다른 트레이더들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세력과 함께 TP(Take Profit)를 설정하는 방법
소개
아서는 트레이더들에게 ICT 이론을 소개하며, 이 이론이 기존의 지지 및 저항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 설명합니다. ICT는 유동성을 이용하여 추세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영상에서는 OB와 FG의 정의를 다루며, 이를 통해 트레이딩 전략을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기존 트레이딩 방식과 ICT의 차이점
기존 트레이딩 방식은 프라이스 액션 패턴, 트렌드라인, 매물대 등을 활용하여 지지 및 저항을 확인하고 진입 및 손절을 결정합니다. 반면 ICT는 다른 트레이더들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지지 및 저항을 파악합니다. ICT에서는 매물대가 털린 후 비어 있는 공간이나, 비어 있는 공간을 채우는 움직임에서 지지 또는 저항을 찾습니다.
캔들 형성 원리와 FG
캔들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 균형에 따라 형성됩니다. ICT와 SMC(Smart Money Concept)에서는 캔들이 만들어질 때 꼬리와 꼬리가 이어지며 가격 이동이 발생하면 거래 균형이 잘 맞는다고 봅니다. 그러나 한쪽으로 급격하게 쏠릴 때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FG(Fair Value Gap)라고 합니다. 기관은 개미들의 물량을 이용하여 차트를 움직이며, 이 과정에서 미체결된 물량이 FG에 남게 됩니다. 기관은 FG를 채우며 평단을 맞추고, 다음 비효율적인 공간으로 가격을 이동시킵니다.
오더블록(OB)의 개념
오더블록(OB)은 가격 지지 또는 저항 역할을 하는 특정 캔들을 의미합니다. FG를 청산하기 위해서는 캔들 세 개의 가운데 빈 공간을 메워야 하며, 이를 위해 첫 번째 캔들의 꼬리와 손을 잡아야 합니다. 이때 첫 번째 캔들을 오더블록이라고 칭합니다. OB는 자금이 뭉쳐진 곳으로, 지지 또는 저항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차트 예시: OB 활용
나스닥, 골드, 비트코인 차트에서 OB가 지지 또는 저항 역할을 하는 예시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FG가 있는 곳이 항상 지지 및 저항을 받는 것은 아니며, 트렌드와 유동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실전 적용: 트렌드, 유동성, OB
FG를 이용한 진입 방법은 트렌드와 유동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상승 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 파악한 후, 현재 추세와 맞는 자리이면서 유동성이 털릴 만한 자리를 피해야 합니다. 다른 트레이더들의 유동성이 걸려 있을 만한 자리 주변에 OB가 있다면 가장 좋습니다.
차트 예시: 트렌드, 유동성, OB 활용
차트 예시를 통해 상승 추세에서 되돌림이 발생했을 때, 피보나치 비율을 이용하여 되돌림 위치를 확인합니다. 이후 추세 전환 지점을 파악하고, 손절이 털릴 만한 자리 아래에 있는 OB를 확인하여 진입합니다. TP는 숏을 잡은 사람들이 손절을 걸 만한 자리에 설정합니다.
타임프레임 및 추가 팁
실제 트레이딩에서는 더 작은 타임프레임으로 추세 변환을 확인하는 것이 더 안정적입니다. 큰 타임프레임으로 추세를 보는 것이 더 확실하며, 타임프레임별로 분석하여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FG에서 지지를 받고 TP까지 가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아서는 FG를 이용하여 진입하는 방법을 요약하며, 트레이더들에게 힘든 시기에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격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