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3가지는 필수" AI 20년 연구한 뇌과학자가 챗GPT 쓰는 법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이 3가지는 필수" AI 20년 연구한 뇌과학자가 챗GPT 쓰는 법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간략 요약

이 비디오는 인공지능(AI)의 발전과 미래에 대한 김대식 교수의 강연을 요약합니다. AI가 폭발적으로 진화한 이유, 전문가들을 놀라게 한 구글의 새로운 AI, 뇌과학적 관점에서 본 AI의 미래, AI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AI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궁극적인 능력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한국 AI 기술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이공계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AI는 학습 기반으로 발전했으며, 인간과의 대화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AI 기술은 유니모델에서 멀티모델로 진화하여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습니다.
  • AI 시대에는 판단력이 가장 중요한 능력이며,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상 요약 [0:00]

AI를 검색 도구로만 사용하지 말고, 대화 상대로 활용하고, AI 도구를 직접 사용해 봐야 합니다. AI 때문에 인생이 망하는 것이 아니라, AI를 먼저 이해한 경쟁자 때문에 망할 수 있습니다. 강연을 듣고 나서 바로 세 가지 AI 도구를 사용해 보세요.

김대식 교수 소개 [0:36]

카이스트에서 뇌과학과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김대식 교수입니다. 인공지능과 인공지능 시대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70년 전 처음 나온 AI가 ‘최근 10년 사이’ 폭발적으로 진화한 이유 [0:52]

현재 사용되는 AI는 대부분 학습 기반 인공지능입니다. 1956년에 처음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초기에는 기계에게 세상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기계는 세상을 이해하지 못했고, 언어 이해도 어려웠습니다. 2012년, 제프리 힌튼 교수가 학습 기반 인공지능 방법을 제안하면서 AI가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학습 기반 AI는 인간이 세상을 배우는 방식을 모방하여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고 학습 기능을 부여합니다.

“저도 무섭습니다” 전문가들 충격에 빠뜨린 구글 신 AI 공개 [3:49]

ChatGPT가 등장했을 때 처음으로 기계와 대화가 가능해져 놀랐습니다. ChatGPT 등장 후 2년 반 만에 사람들은 적응했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ChatGPT 없이 숙제를 못 할 정도입니다. 기술 수준은 유니모델에서 멀티모델로, 예측 위주에서 사고 위주로 변화했습니다. 멀티모델 AI는 글, 그림, 영상, 소리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습니다. ChatGPT의 'T'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알고리즘을 사용해 언어 규칙을 찾아낸 것을 의미합니다. 트랜스포머는 인간도 찾아내지 못한 언어 규칙을 찾아냈습니다. 최근에는 나노바나(Nano Vana)와 같은 AI 도구가 등장하여 이미지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뇌과학자로서 확신합니다” 10년 내, 인간과의 대화가 99% 사라진다 [11:21]

AI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AI 기술은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성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한국은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이 가장 많은 사회이며, AI는 외로움을 달래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10~20년 후에는 대부분의 진지한 대화를 AI와 하게 될 것입니다. AI 기술은 경제, 일자리, 사회뿐만 아니라 정치, 인간성, 인류 역사에까지 영향을 줄 것입니다.

“영상 멈추고 이 3가지를 해보세요” 상위 1%가 되는 진짜 AI 사용법 [15:09]

AI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은 AI를 먼저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AI 에이전트, 바이브 코딩, AI 기반 단편 영화 제작을 통해 AI를 경험해야 합니다. AI 에이전트는 정보를 요약, 정리, 보고서 작성까지 할 수 있습니다. 바이브 코딩은 AI로 코딩을 해주는 기술로, 자신만의 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AI 기반 단편 영화 제작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AI 시대에 살아남는 궁극의 능력 ‘1가지’ [22:09]

AI는 질문을 이해하고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쓴 문장을 학습하고 확률적인 구조를 이해하여 예측하는 것입니다. 프롬프트에 따라 예측 퀄리티가 달라지므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AI 시대에 가장 중요한 능력은 판단력입니다. AI가 만들어낸 결과물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는 판단력이 필요합니다.

“이공계 인재가 절실하다” 한국 AI 기술 패권 다 뻇기기 직전입니다 [26:04]

한국은 AI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AI 기술이나 서비스 생산은 부족합니다. 중국은 AI 기술 수준이 높고, 핵심 기술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인공지능 전문가의 절반 이상이 중국계입니다. 한국은 이공계 인재풀이 작고, 의대로 쏠리는 현상이 심합니다. 이공계, 특히 인공지능 인재 양성이 시급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10/14/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