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추가규제 나옵니다" 앞으로 집값 이렇게 된다

"곧 추가규제 나옵니다" 앞으로 집값 이렇게 된다

간략 요약

본 영상은 부동산 추가 규제 가능성과 향후 집값 전망에 대해 다룹니다. 정부의 공급 대책 발표 예정과 함께 전세 대출 규제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세금 인상 및 거래 제한 정책이 고려되고 있어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 전세 대출 규제 완화 가능성
  • 공공 임대 위주의 공급 대책
  • 보유세 인상 및 거래 제한 가능성
  • 역대 최저 수준의 신규 공급
  • 금리 인하 및 유동성 증가

부동산 시장 규제 및 전망 [0:08]

정부가 다음 주 부동산 공급 대책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전세 대출에 대한 DSR 규제 적용은 제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전세 자금 대출 규제가 임차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표심을 고려한 결정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현재 전세금 반환 대출 규제만으로도 임대인에게는 전세 공급이 쉽지 않은 상황이며, 추가 규제는 전세 물량 감소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공급 대책의 내용 및 한계 [5:30]

정부의 공급 대책은 수도권 공공택지 활용, 3기 신도시 건설 등 기존에 발표된 내용 외에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방안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공공 기반의 재개발·재건축은 용적률 확대에 따른 임대 아파트 건설 의무, 공공 보행로 설치 등으로 사업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전월세 시장 현황 및 전망 [8:21]

서울 및 경기도의 전월세 물량이 2년 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이는 2023년 전월세 계약 시 계약 갱신 청구권 사용 비율이 높아 신규 매물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출 규제로 인해 기존 세입자들이 계약 갱신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전세 가격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소폭 상승하고 있으며, 2026년과 2027년에는 공급 부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금 정책 변화 가능성 [12:24]

대통령실 관계자는 부동산 세금 정책을 변경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국토부는 공시가격 현실화율 인상에 대한 연구 용역을 진행 중이며, 11월쯤 결론이 나올 예정입니다. 이는 내년도 종부세 및 재산세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15억 초과 아파트 매수 시 1주택자에게도 높은 취득세를 부과하는 방안, 장기보유 특별공제 축소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종합적인 시장 전망 [17:45]

현재 부동산 시장은 공공 임대 위주의 공급 대책, 보유세 인상 가능성, 역대 최저 수준의 신규 공급, 금리 인하 예고, 유동성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문재인 정부 때보다 더 좋지 않으며, 세금 인상 및 거래 제한 정책은 시장에 부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향적인 공급 대책이 필요하며, 시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8/27/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