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한K] ‘기후변화·자원고갈’ 수산업 위기…극복 방안은? / KBS  2022.01.18.

[대담한K] ‘기후변화·자원고갈’ 수산업 위기…극복 방안은? / KBS 2022.01.18.

요약

이 영상은 기후 변화와 자원 고갈로 인한 수산업의 위기에 대해 국립수산과학원 우동식 원장과 인터뷰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립수산과학원의 핵심 과제: 스마트 양식 기술 개발, 탄소 중립 연구, 연구 성과 공유 및 데이터 개방
  •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 변화: 수온 상승, 어종 변화 (난류성 어종 증가, 한류성 어종 감소), 어획량 감소
  • 양식업 피해 및 대책: 굴 집단 폐사 원인 분석 및 피해 예방, 기후 변화에 강한 양식 품종 개발
  • 기후 변화 대응 방안: 에너지 절감형 어구 개발, 신재생 에너지 사용, 총 허용 어획량 제도 시행, 수산 자원 변동 예측 및 모니터링

겨울 제철 수산물 가격 상승 및 수산업 위기

겨울 제철을 맞아 굴과 미역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기후 변화와 자원 고갈로 인한 수산업의 위기를 보여줍니다. 국립수산과학원 우동식 원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국립수산과학원 소개 및 핵심 과제

국립수산과학원은 1949년에 설립된 우리나라 유일의 종합 수산 연구 기관으로, 부산에 본원을 두고 있습니다. 올해 핵심적으로 추진할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양식 기술을 개발하여 수산업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둘째, 탄소 중립을 위해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양식 연구 등 수산 분야의 탄소 저감 연구 과제를 추진합니다. 셋째, 수산 분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데이터를 개방하여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어획량 감소

동해안에서는 오징어가 잘 잡히지 않고, 남해안에서는 멸치잡이를 포기할 정도로 어획량이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로 인해 바다 수온이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50년간 전 세계 바다 표층 수온이 약 0.52도 상승했으며, 우리나라 주변 해역은 그 두 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로 인해 폭염, 해파, 태풍이 빈발하고 고수온과 저수온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멸치, 고등어, 오징어 같은 난류성 어종은 증가하고, 명태, 도루묵 같은 한류성 어종은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지난해 멸치와 오징어 작황 부진 원인 분석

지난해 오징어 작황이 부진했던 이유는 11월 북측 동해 수역의 표층 수온이 예년보다 높았기 때문입니다. 오징어가 남하하지 않고 북쪽에 오래 머물렀으며, 수온이 높은 지역으로 확산되어 특정 지역에 몰리지 않았습니다. 멸치의 경우, 여름철 갓 태어난 멸치가 좋아하는 수온보다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이 1~3도 높아 생존율이 떨어져 작황이 부진했습니다.

양식업 피해 및 원인

양식장에서는 굴 집단 폐사 피해가 발생하고, 기장미역 수확량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남해안에서 굴 폐사가 발생했으며, 원인 분석 결과 9~10월 남해안 가뭄으로 육상에서 내려오는 영양 염류가 부족하여 굴이 영양 부족으로 폐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또한, 일부 해역에서는 수중 빈산소수괴 형성으로 굴이 호흡 곤란을 겪어 폐사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양식업 피해 예방 대책

양식업은 자연 재해에 취약하므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합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전국 140개 실시간 수온 관측 시스템을 구축하여 어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서남해 해역별로 현장 대응반과 비상대응반을 구성하여 양식장에 방문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고수온에 강한 참전복, 넙치, 아열대성 어종인 발이 넙치 등을 개발하여 어민들에게 보급할 예정입니다.

기후 변화 대응 방안

수산 분야에서도 기후 변화 주원인인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에너지 절감형 어구 개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양식 기술 개발, 어업에 쓰이는 연료나 에너지를 신재생 에너지나 친환경 에너지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총 허용 어획량 제도를 통해 자원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고, 수산 자원 변동에 대한 조사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따른 수산 자원 분포 변화를 예측하여 어민들이 어획에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연근해 수산 자원 변동을 모니터링하여 미래에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자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