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강연은 21세기 과학 시대에 필요한 과학 문해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국어, 영어, 수학(구영수)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합니다. 특히, 국어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문학 교육을 통해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 21세기에는 과학 문해력이 필수적이며, 이는 과학의 언어인 수학을 이해하는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 인공지능 시대에는 인공지능과 협력하기 위해 국어, 영어, 수학 능력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 국어 능력은 모든 학습의 기초이며, 문학 교육을 통해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개
강연자는 엄마의 문해력 덕분에 교양인으로 여겨졌던 경험을 소개하며 문해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20세기에는 문해력이 있는 사람들이 교양인으로 여겨졌지만, 21세기 과학 시대에는 과학 문해력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과학 문해력
과학 문해력은 과학 지식을 많이 쌓는 것이 아니라 과학의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강연자는 블랙홀을 예시로 들며 과학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과학 지식을 따라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합니다. 과학 문해력을 갖추는 것은 과학의 기본적인 언어를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며, 만유인력 법칙을 설명하는 수식과 그림을 통해 이를 설명합니다.
수학의 중요성
수학이 어렵기 때문에 과학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강연자는 딸의 아르키메데스 원리 경험을 예로 들며, 아이들이 원리의 수학적 설명보다는 이야기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서울시립과학관 시민 공청회에서 시민들이 과학이 재미있고 쉽다는 것을 알려달라고 요구했지만, 강연자는 과학은 어렵고 지루할 수도 있다고 답했습니다. 21세기에는 과학 문해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학이라는 기본적인 언어를 알아야 합니다.
중세 대학의 인문학
중세 대학에서는 2년 동안 문법, 논리학, 수사학(글쓰기)과 음악, 산술, 기하학, 천문학(수학)을 배웠습니다. 이는 국어와 수학이라는 두 가지 언어를 배운 것과 같습니다. 21세기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국어, 수학뿐만 아니라 영어와 같은 외국어 능력도 필요합니다.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인공지능 시대에는 구경수 중심의 교육이 더욱 중요합니다. 우리는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야 하며, 인공지능보다 더 잘할 수는 없습니다. 인공지능과 협력하기 위해서는 언어 능력이 필수적이며, 국어, 영어, 수학을 통해 인공지능을 조수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국어의 중요성
구경수를 동시에 장착할 수는 없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국어입니다. 수학 문제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국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국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많이 읽고 많이 쓰는 것이 중요하며, 그 시작은 문학입니다. 문학은 인간을 강하게 만들고, 문해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
21세기 과학 시대를 살아가는 것은 두려운 일이지만, 과학 문해력을 갖추기 위해 구경수를 배우고 문학을 통해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