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강 이상이 일상이 되는 상상 "선배시민 실천론"

2강 이상이 일상이 되는 상상 "선배시민 실천론"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실천, 의존성, 독립성, 그리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개인의 안전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노인의 역할 변화와 선배 시민으로서의 권리 실천을 강조합니다.

  • 의존과 협력을 통해 독립성을 확보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의 차이를 이해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 노인은 돌봄의 대상이 아닌 공동체를 돌보는 주체로서 사회 변화를 이끌 수 있습니다.

소개 [0:00]

이 영상은 실천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며, 화자는 독립적인 사람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에게 의존하고 있음을 깨닫습니다. 사람은 서로 의지할 때 진정으로 독립적일 수 있으며, 협력과 연대를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문명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의존성의 중요성 [0:16]

화자는 NASA의 청소부 이야기를 예로 들며, 겉으로는 독립적인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도 사실은 많은 사람들의 도움에 의존하고 있음을 설명합니다. 로켓 발사와 같이 거대한 일도 청소부와 같은 숨은 조력자들의 노력이 있기에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으며, 안전 문제 역시 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회사, 정부, 사회 전체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개인적 관점 vs 사회적 관점 [5:02]

장애에 대한 개인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의 차이를 설명하며 닉 부이치치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닉 부이치치는 개인의 노력으로 장애를 극복한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모든 장애인에게 귀감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마서스 비어드 섬의 사례를 통해 사회가 장애물을 어떻게 제거하느냐에 따라 손상이 장애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사회적 관점에서는 사회의 협력과 연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빈곤과 사회적 책임 [9:50]

빈곤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논하며, 한국 노인들의 "짤짤이" 실태를 언급합니다. 복지 국가에서는 최소한 굶주림 없이, 아플 때 치료받을 수 있어야 하며, 돌봄 역시 사회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캐나다의 노인들은 국가가 빈곤, 질병, 돌봄을 책임지기 때문에 "우리 집 장남"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나눔의 두 가지 관점 [13:33]

나눔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제시합니다. 첫째는 불쌍한 사람을 돕는 자선적인 나눔이고, 둘째는 모든 시민이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받는 사회를 만드는 나눔입니다.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자각하고 사회적 나눔을 요구하며 실천하는 "선배 시민"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선배 시민의 실천론 [15:31]

선배 시민의 실천론으로 "바·바·바" (나를 살펴봐, 너를 살펴봐, 우리를 만들어봐)를 제시합니다.

  1. 나를 살펴봐: 소크라테스처럼 끊임없이 묻고 토론하며 스스로를 성찰합니다.
  2. 주위를 둘러봐: 헬렌 켈러처럼 노동 현장, 여성 운동 현장, 장애인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사회를 조사하고 연구합니다.
  3. 우리를 만들어봐: 은발의 표범당처럼 사회를 변화시키는 공동체를 함께 만들어갑니다.

선배 시민의 사례 [18:56]

유럽의 헬프에이징 사례를 소개하며, 노인들이 스스로 권익 활동을 하고 유엔의 노인 인권 협약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로프키리 협동조합은 노인들이 공동 주거 공간에서 서로 돕고 돌보는 역할을 하는 공동주택입니다. 한국의 평택 사랑 선배 시민회는 지역 사회의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돕고, 진천군의 선배 시민들은 지역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성남시의 디딤돌 동아리는 바리스타 교육을 받아 후배들을 응원하고, 건강 동아리는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을 제안합니다.

선배 시민 총회 [34:10]

선배 시민들이 국가 정책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해 선배 시민 총회를 개최합니다. 2019년 열린 토론과 나눔 축제에서 탈북민 모자 사건과 빈곤 독거노인 사망 사건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토론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공동체 문제에 정책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결론 [43:17]

선배 시민들은 스스로를 시민으로 인식하고 동료들과 함께 토론하며, 주위를 둘러보고 우리를 만들어가는 실천을 통해 사회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선배 시민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가지고 구체적인 변화를 만들어가는 모습은 한국 노인 역사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앞으로 선배 시민들이 총회를 통해 어떠한 발자취를 남길지 기대하며, 공동체를 돌보는 주체가 되는 선배 시민들의 실천을 응원합니다.

Watch the Video

Date: 9/10/2025 Source: www.youtube.com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