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인간 본성의 철학적 담론, 특히 인성(人性)과 천리(天理) 개념을 탐구합니다.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을 바탕으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본래적 의미와 현대적 적용을 논하며, 이러한 보편적 가치를 일상생활에서 실천하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 인성은 하늘이 부여한 인간 본연의 성질이며, 인의예지로 구체화됩니다.
-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았으며, 이는 선한 정치의 근거가 됩니다.
- 환경과 습관에 따라 본성이 가려질 수 있지만, 인의예지를 찾는 공부를 통해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인의예지신은 인간이 보편적으로 가져야 할 다섯 가지 덕목이며, 이를 통해 이성적인 사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소개
이 강의에서는 인간 본질과 철학적 담론을 다루며, 구체적으로 인성(人性)과 천리(天理)의 개념,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본래적 의미와 현대적 개념을 탐구합니다. 또한, 인의예지신의 보편 정신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하는 방법을 학습 목표로 설정합니다. 인성은 하늘이 명한 것으로, 인간을 다른 존재와 구별 짓는 본질이며, 인간이 인간답게 되는 이치입니다.
인성이란 무엇인가
인성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천리(天理)이며, 구체적으로는 인의예지(仁義禮智)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인성은 감정과 욕망을 통제하는 내면의 중심이 되며, 이성적인 사회를 만드는 기반이 됩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며, 이는 선한 정치의 근거가 된다고 보았습니다. 인간은 본래 인의예지라는 사덕(四德)을 내면에 가지고 태어나며, 이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것입니다.
왕도 정치와 선한 본성
맹자는 선한 본성이 선한 정치의 근거가 된다고 보았으며, 왕도 정치(王道政治)는 어진 마음과 올바름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적 안정과 교육을 통해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반면, 폐도 정치(霸道政治)는 무력과 가혹한 형벌로 다스리는 것으로, 맹자는 이를 반대했습니다. 인간은 선한 본성을 타고났지만, 개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성과 환경의 영향
맹자는 사람들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인의예지를 깨닫지 못하고 실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이가 생긴다고 설명합니다. 공자는 "찾으면 얻고 놓으면 잃는다"고 말하며, 타고난 재질을 남김없이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환경(습, 習)이 인간의 본성에 영향을 미쳐 선한 본성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좋은 환경은 본성을 잘 유지 발전시키지만, 좋지 못한 환경은 본성을 가릴 수 있습니다.
우산의 숲 비유
맹자는 우산(牛山)의 숲을 예로 들어 인간의 본성이 환경에 의해 훼손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설명합니다. 본래 아름다웠던 숲이 사람들의 벌목과 가축의 방목으로 민둥산이 된 것처럼, 인간의 선한 본성도 외부 환경에 의해 가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래의 선한 마음은 우산의 숲처럼 내면에 존재하며, 회복될 수 있습니다.
인성 회복의 중요성
인간의 욕구와 감정이 커져 인성을 위축시키면 비이성적인 마음 구조가 형성되고, 이는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의예지를 공부하는 것은 본래의 선한 마음을 찾고 실현하는 과정입니다. 감정과 욕망을 다스리고 인성을 회복하여 선한 마음이 중심이 되는 내면 심리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의예지신 담론
하늘이 부여한 인의예지(仁義禮智)는 인간의 본성 속에 내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철학적 담론을 펼칠 수 있습니다.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은 오상(五常)이라고도 하며, 인간이 항상 가져야 할 다섯 가지 덕목이자 보편 정신을 의미합니다. 이는 과거, 현재, 미래, 동양, 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인간에게 필요한 가치입니다.
인(仁)에 대한 고찰
인(仁)은 어질다는 뜻으로, 맹자는 이를 측은지심(惻隱之心)이라고 보았습니다. 측은지심은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현대적으로는 사랑, 신뢰, 동정, 배려, 이해 등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인(仁)이라는 글자는 사람 인(人)에 두 이(二)자가 합쳐진 것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인간적인 친애, 동정, 배려, 이해의 마음을 의미합니다. 효도와 공경은 인을 행하는 근본이며, 가정에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는 것이 인의 시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