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주차 1강

10주차 1강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송나라의 성리학에서 시작하여 원나라의 건국, 사회 구조, 쇠망 원인, 그리고 백련교도에 이르기까지 중국 역사를 개괄적으로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송나라의 성리학이 국방 소홀로 이어져 금나라에 중원을 내주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 남송 시대 주전파와 주화파의 대립, 악비 장군의 죽음과 꽈배기의 유래에 대한 이야기
  • 몽골 제국의 건설과 원나라의 사회 구조, 세계와의 접촉
  • 원나라 쇠망의 원인과 홍건적의 난, 백련교도의 역할

송나라 성리학의 영향과 남송 시대의 갈등

송나라의 성리학은 우주 만물의 구성 원리와 인간 본질 탐구에 대한 철학이었으나, 국방을 소홀히 하여 금나라에 중원을 내주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북송이 멸망하고 남송이 세워지면서 주전파와 주화파의 대립이 심화되었고, 주화파의 진회는 악비 장군을 모함하여 죽음에 이르게 했습니다.

악비 장군의 죽음과 꽈배기의 유래

악비 장군은 북쪽을 회복하려 했으나 진회의 모함으로 죽임을 당했고, 이에 분노한 백성들이 진회 부부를 꽈배기처럼 꼬아 기름에 튀겨 먹었다는 이야기가 꽈배기의 유래로 전해집니다. 현재 중국의 꽈배기는 한국의 꽈배기와 모양이 다르며, 또우장(콩국물)과 함께 먹는다고 합니다.

원나라의 건국과 세계와의 접촉

몽골족은 북쪽의 여러 부족을 통일하고 금나라와 남송을 멸망시켜 원나라를 세웠습니다. 징기스칸의 후예들은 분봉을 통해 대제국을 다스렸고, 킵차크, 차가타이, 일 한국 등의 분봉 왕국이 있었습니다. 원나라는 유럽까지 정복하여 세계와의 접촉이 활발했으며, 카르피니, 코르비노, 마르코 폴로, 이븐 바투타 등이 원나라를 방문했습니다.

원나라의 사회 구조와 교통 체계

원나라의 사회 구조는 몽골인, 생모인(위구르족, 아랍인, 유럽인 등), 한인, 남인 순으로 계층화되었습니다. 대제국을 다스리기 위해 역참 제도를 두어 교통, 운수, 통신, 정보 교류를 활발하게 했습니다. 역참은 약 40km마다 설치되어 숙박, 식량 제공, 말 교체 등의 편의를 제공했습니다.

원나라 쇠망의 원인과 백련교도의 역할

원나라 쇠망의 원인으로는 왕위 쟁탈전, 귀족의 사치, 라마교 행사로 인한 국고 낭비, 교초 남발로 인한 인플레이션 등이 있었습니다. 홍건적의 난은 백련교도를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백련교도는 도교와 불교에서 기원한 민간 종교로, 이민족 지배에 저항하는 세력이었습니다.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 또한 백련교도 출신입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