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AJ 인베스트먼트의 이재규 본부장과 함께 미국 시장을 정리하고 한국 시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시장은 연휴 동안 좋았지만, 최근 달러 강세와 환율 상승으로 외국인 자금 유입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 프랑스 정치적 문제와 일본 신임 총리의 엔화 정책 가능성이 달러 강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 한국 시장은 지난주 외국인 순매수와 비차익 순매수로 수급이 좋았지만, 환율과 반도체 하락 여부를 주시해야 합니다.
- 3분기 실적 발표 시즌에 조선, 방산, 전력 기기 섹터가 유망하며, AI 트렌드 지속 여부와 미중 갈등에 따른 투자 아이디어를 고려해야 합니다.
시장 분석 및 전망 [0:23]
미국 증시는 연휴 기간 동안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하락세로 마감되었습니다. 특히 달러 인덱스 상승과 달러-원 환율 상승이 외국인 자금 유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프랑스의 정치적 불안정과 일본의 엔화 약세 정책 가능성이 달러 강세를 유발하고 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달러 약세 선호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지 주목해야 합니다. 환율 급등 시 시장이 흔들릴 경우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으며, 3분기 실적이 부진하지만 4분기 기대감이 있는 반도체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시장 동향 및 셧다운 영향 [4:31]
미국 시장은 AI 관련주의 영향으로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특히 엔비디아의 UAE 수출 승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관련 조사로 하락세를 보였고, 양자 컴퓨팅 관련주가 급등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 시장 분석 및 외국인 수급 [6:37]
한국 시장은 지난주 코스피가 크게 상승했으며, 외국인이 3조 원을 순매수하고 개인이 3조 원을 순매도하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특히 비차익 순매수가 1조 8천억 원에 달해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반도체 섹터가 강세를 보였으며, 금산분리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SK스퀘어 등 지주사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자동차, 증권주도 강세를 보였으며,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대감도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오늘의 시장 전망 및 EWY 지표 [12:02]
일본 증시는 부진했으나 어제는 상승했고, 중국 증시는 신고가 갱신을 앞두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는 하락했지만 아래꼬리가 달렸으며, 셧다운으로 인해 비농업 고용 보고서 발표가 지연되면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동성 장세에서 실적 장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에 상장된 한국 ETF인 EWY가 연휴 기간 상승 후 하락 마감하여 시장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을 시사합니다. 삼성전자 GDR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주요 뉴스 및 시장 영향 [16:30]
엔비디아의 AI 칩 아랍에미리트 수출 승인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급등했고, AI 트렌드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다컴 버블 시기와 비교했을 때 빅테크 기업의 PER이 아직 낮아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중국의 히토류 수출 통제 확대는 미중 갈등 지속을 의미하며, 이는 한국 기업에 수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을 규제함에 따라 한국 기업이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투자 아이디어를 발굴해야 합니다.
환율 및 메모리 슈퍼사이클 [21:10]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 확대가 환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일본 차기 총리 후보의 엔저 용인 가능성이 환율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유동성 장세에서는 원화 강세가 좋지만, 실적 장세에서는 원화 약세가 유리합니다. 환율이 상승하더라도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순매수가 이어진다면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AI 성장에 따라 HBM뿐만 아니라 디램과 랜드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3분기 실적 시즌 및 투자 전략 [25:54]
유동성 장세에서 실적 장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며, 3분기 및 4분기 실적이 좋은 기업에 주목해야 합니다. 코스피 전체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도체, 증권, 전력 기기, 조선, 방산 섹터가 유망합니다. 반도체 ETF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투자 전략이며, 금, 비트코인, 동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 후 조정을 받고 있지만 하락보다는 조정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AI 칩, 전력, 로봇을 언급하면서 관련 섹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